하경추부 신전 손상에서 수술 시야상 연부조직 손상의 정 도와 신경 결손과의 관계
목적: 하경추부 신연 신전 손상에서 척수 손상과 관련된 연부조직 손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하경추부 신연 신전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순 방사선상 연부조직의 부종 정도를 확인하였고, 수술 시야상 전척추 근막, 경장근 및 전종인대 파열과 각 손상 추간판의 상종판, 하종판, 섬유륜,후종인대 파열 여부를 확인하여 신경 손상의 정도와 각각의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부조직의 부종에서 후인두 공간은 92%에서, 후기도 공간은 89%에...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15 - 2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정형외과학회
01.02.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102 2005-8918 |
Cover
Summary: | 목적: 하경추부 신연 신전 손상에서 척수 손상과 관련된 연부조직 손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하경추부 신연 신전 손상으로 수술적 치료를 받은 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단순 방사선상 연부조직의 부종 정도를 확인하였고, 수술 시야상 전척추 근막, 경장근 및 전종인대 파열과 각 손상 추간판의 상종판, 하종판, 섬유륜,후종인대 파열 여부를 확인하여 신경 손상의 정도와 각각의 인자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연부조직의 부종에서 후인두 공간은 92%에서, 후기도 공간은 89%에서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나 척수 손상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연부조직의 손상 중 전척추 근막 파열, 경장근 파열은 신경 손상 정도와 무관하였고, 하종판 파열, 추간판 섬유륜 파열은 신경손상 정도와 비례관계를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종인대 파열(p<0.01), 상종판 파열(p=0.02), 후종인대 파열(p=0.04)은 신경 손상 정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전종인대 파열, 상 종판 파열이나 후종인대 파열이 동반된 하경추부 신연 신전 손상에서 신경 결손의 발생 빈도가 높았으며 하부 경추 손상 시 척추의 안정성에 관여하는 중요한 구조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mage to anterior soft tissues and neurological defi cit in distractive extension injury of the lower cervical spine.
Materials and Methods: Ninety-two patient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for distractive extension injury of the lower cervical spine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oft tissue swelling was evaluated on plain radiographs. Damage to the longus colli muscle,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superior end plate, inferior end plate, annulus fibrosus, and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were intraoperatively check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i ndings and clinical neurologic defi cits was analyzed.
Results: Soft tissue swelling was increased to 92% in the retropharyngeal space and to 89% in the retrotracheal space but there was no signifi cant difference.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damage to the prevertebral fascia, longus colli muscle and neurological defi cit. Injuries to the inferior end plate and annulus fi brosus showed a directly propotional relation with neurological deficit, but it was not significant. Injuries to the 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p<0.01), superior end plate (p=0.02),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p=0.04) showed signifi cant relations with neurological defi cit.
Conclusion: The distractive extension injury combined with the damage to the anterior longitudinal ligament, superior end plate or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showed high frequency of neurological defi cit. Hence, these are regarded as the important structures for maintaining the stability of the lower cervical spine.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0908.2012.47.1.010 |
ISSN: | 1226-2102 2005-8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