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아니스트의 국소 근긴장 이상에서 시행한 근전도 감시 하 보톡스 주사 치료

음악가의 국소 근긴장 이상(focal dystonia)은 전문적 음악가의 장해 중 가장 큰 문제로 연주 동작 시 손가락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굴곡 또는 신전하는 동작 특이성을 보인다. 피아니스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운동 기능에 관련된 것인지 심리적 긴장감에 의한 것인지 그원인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논란이 많다. 현재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지각 운동 훈련, 연주법이나 악기, 혹은 교사의 변경, 보조 장구에 의한 고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 방법은 없다. 보톡스를 이용한 치료는 증례에 따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Korean Orthopaedic Association pp. 232 - 235
Main Authors 박호연, 전인호, 이한성, 윤준오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정형외과학회 01.06.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음악가의 국소 근긴장 이상(focal dystonia)은 전문적 음악가의 장해 중 가장 큰 문제로 연주 동작 시 손가락이 자신의 의지와 상관 없이 굴곡 또는 신전하는 동작 특이성을 보인다. 피아니스트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며, 운동 기능에 관련된 것인지 심리적 긴장감에 의한 것인지 그원인에 대해서도 아직까지 논란이 많다. 현재 바이오 피드백을 이용한 지각 운동 훈련, 연주법이나 악기, 혹은 교사의 변경, 보조 장구에 의한 고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치료 방법은 없다. 보톡스를 이용한 치료는 증례에 따라서는 효과가 있으며그 효과는 가역적이기 때문에 고도의 동작을 요하는 음악가에게 큰 부담 없이 시도해볼 수 있다. 저자들은 전문 피아노 연주가의 손에서 발생한 국소 근긴장 이상에 대해 근전도 감시하 보톡스 주사 치료를 하였고 이의 결과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Focal dystonia of musicians is one of the most disabling problems for professional musicians. It has focal task-specifi city, presenting with involuntary fl exion or extension of individual fi ngers when musicians play their instruments. It occurs mostly in pianists, and controversies still exist about the pathophysiology, whether it is caused by motor function disability or by a psychological condition. Although sensorimotor rehabilitation, change in instrument, skill or teacher, and immobilization with brace have been tried as treatment, there is still no defi nitive treatment. Because botox therapy has been effective in certain cases without irreversible side effects, this could be applied even in professional players. We report a case of focal dystonia of the hand in a professional pianist treated using electromyogram-guided botox injection and a review of the relevant medical literature.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908.2012.47.3.011
ISSN:1226-2102
2005-8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