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유신념이 감사에 미치는 영향: 긍정정서와 인지적 정서 조절을 매개로

본 연구는 향유신념과 감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 모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성인 485명을 대상으로 향유신념, 감사, 긍정정서,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향유신념, 긍정정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감사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효...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8(2) pp. 520 - 532
Main Author 이희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콘텐츠학회 01.0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8.18.02.52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향유신념과 감사에 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 매개 모형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 및 성인 485명을 대상으로 향유신념, 감사, 긍정정서, 인지적 정서조절을 측정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향유신념, 긍정정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 감사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연구 모형을 검증한 결과 향유신념과 감사의 관계에서 긍정정서와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의 이중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과 상담 및 심리치료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Based on advanced research,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savoring belief and gratitude, and identify a model of the mediating mechanisms of positive affect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relation between savoring belief and gratitude. For this purpose, savoring belief, positive affect,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gratitude were measured, among 485 adult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hypothesis and the patterns of variables was confirmed. The results showed that savoring belief, gratitude, positive affect,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have the positive correlation and savoring belief, gratitude, positive aff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e dual mediation effect by positive affect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as also verified.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es a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2
ISSN:1598-4877
2508-6723
DOI:10.5392/JKCA.2018.18.02.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