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용 디지털 맥박 산소 포화도 측정기를 이용한 하지 동맥 질환의 진단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하지 말초 동맥 질환과 요추부 방사통과의 감별을 위한 검사로써 휴대용 디지털 맥박 산소포화도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논문의 요약: 맥박 산소포화도 검사는 동맥의 산소포화도를 비침습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선천성 심장 질환이나 허혈성 하지 동맥 질환의 선별 검사에 쓰일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에서 2010년 8월까지 하지 동맥 질환으로 확진된 45명의 양측 하지를 대상으로 양측 족부의 무지에서 맥박 산소포화도와ankle brachial index (ABI)를 측정하...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36 - 40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03.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4378 2093-4386 |
Cover
Summary: |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하지 말초 동맥 질환과 요추부 방사통과의 감별을 위한 검사로써 휴대용 디지털 맥박 산소포화도 검사의 유용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논문의 요약: 맥박 산소포화도 검사는 동맥의 산소포화도를 비침습적으로 검사할 수 있어 선천성 심장 질환이나 허혈성 하지 동맥 질환의 선별 검사에 쓰일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8월에서 2010년 8월까지 하지 동맥 질환으로 확진된 45명의 양측 하지를 대상으로 양측 족부의 무지에서 맥박 산소포화도와ankle brachial index (ABI)를 측정하였고, 이들 값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도, 음성 예측도를 계산하였다. ABI의 경우 0.9 미만인경우를 양성으로 정의 하였고, 무지 산소포화도의 경우 수지와 2% 이상 차이를 보이거나 96% 이하인 경우를 양성으로 정의 하였다.
결과: 45명의 환자 중 42명 84예의 하지에서 맥박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고, 33명 66예의 하지에서 ABI의 측정값을 얻었다. 디지털 맥박 산소포화도검사의 경우 민감도는 47%(95% CI, confidence interval 34-60%), 특이도는 86%(95% CI, 64-96%), 양성 예측도는 91%(95% CI, 74-98%), 음성 예측도는 37%(95% CI, 24-51%)였다. ABI의 경우 민감도는 49%(95% CI, 34-64%), 특이도는 95%(95% CI, 72-99%), 양성 예측도는 96%(95% CI, 77-99%),음성 예측도는 43%(95% CI, 28-72%)였다. 그러나 급성 동맥 폐색이있었던 11명 22예의 경우 맥박 산소포화도의 민감도는 73%(95% CI, 37-93%),특이도는 100%(95% CI, 68-100%), 양성 예측도는 100%(95% CI, 60-100%), 음성 예측도는 79%(95% CI, 49-94%)였다.
결론: 휴대용 디지털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기를 이용한 무지의 산소 포화도 측정은 민감도가 ABI 와 유사해 선별 검사로서의 적합성은 떨어지지만 급성으로 발생한 하지 통증의 경우 외래나 응급실에서 척추성 하지 통증과의 감별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a handheld digital pulse oximetry in the detection of lowerextremity arterial diseas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Pulse oximetry is a well-established method for noninvasive evaluation of arterial oxygenation.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in 45 patients with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 We compared theaccuracy of a handheld digital pulse oximetry and the ankle brachial index (ABI). Digital pulse oximetry was conducted for 42 patientswith 84 limbs to measure the SaO2 of their index fingers and big toes in supine position. The ABI was defined as abnormal if it was lessthan 0.9. Pulse oximetry of big toes was defined as abnormal if the SPO2 was less than 96% or it was more than 2% lower than that ofthe index finger.
Results: Digital pulse oximetry had a sensitivity of 47%(95% CI, 34-60%) and specificity of 86%(95% CI, 64-96%). ABI had a sensitivityof 49%(95% CI, 34-64%) and specificity of 95%(95% CI, 72-99%). Positive predictive values were 91%(95% CI, 74-98%) for digitalpulse oximetry and 96%(95% CI, 77-99%) for ABI. Negative predictive values were 37%(95% CI, 24-51%) for digitial pulse oximetry and43%(95% CI, 25-72%) for ABI. In 22 cases with acute ischemicwere the sensitivity 73%, the specifity 100%,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100% and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79%.
Conclusions: Handheld digital pulse oximetry of the big toes seems as accurate as ABI to detect lower extremity arterial diseases. Thecombination of both will help to distinguish low extremity arterial disease and spinal radiculopathy.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2174.2014.21.1.003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