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 고정 케이지를 이용한 단분절 경추 전방 유합술의 결과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나사 고정 케이지를 이용한 단분절 경추 전방 유합술을 시행하고 이들의 임상결과를 단독 케이지만 사용한 증례들과 비교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금속판과 연관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케이지에 나사못을 고정한 형태의 Zero P를 이용한 경추 전방유합술이 소개되었다. 대상 및 방법: 경추 퇴행성 추간판 질환으로 단분절에 대해 수술 받은 23명을 대상으로 이중 12예는 단독 PEEK 케이지만을 사용하였고, 11예는 나사 고정 케이지를 이용하여 전방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중의 지표와 한국판 Neck Pai...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71 - 76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06.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4378 2093-4386 |
Cover
Summary: |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나사 고정 케이지를 이용한 단분절 경추 전방 유합술을 시행하고 이들의 임상결과를 단독 케이지만 사용한 증례들과 비교하였다.
선행문헌의 요약: 금속판과 연관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케이지에 나사못을 고정한 형태의 Zero P를 이용한 경추 전방유합술이 소개되었다.
대상 및 방법: 경추 퇴행성 추간판 질환으로 단분절에 대해 수술 받은 23명을 대상으로 이중 12예는 단독 PEEK 케이지만을 사용하였고, 11예는 나사 고정 케이지를 이용하여 전방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중의 지표와 한국판 Neck Pain Disability 지수 및 경추와 방사통의 Visual Analogue Scale 등 임상적 지표와 방사선상 지표에 대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술 후 6주, 3개월, 6개월, 12개월에 추시한 한국판 NDI와 VAS는 양 군에서 의미 있게 호전되었다. 연하 지수 역시 양 군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단독 케이지 사용군에서 케이지 침강이 의미 있게 높은 비율에서 관찰되었고, 특히 3 mm 이상의 케이지 침강의 경우 25%(3예)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나사 고정 케이지를 이용한 경추 전방 유합술은 단독 케이지 사용군과 비교해도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보였으며 단독 케이지 사용군보다 낮은 케이지침강을 보였다. Study Design: A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and compare the clinical results of a zero profile implant with a conventional stand-alone cag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A new zero-profile interbody fusion implant named Zero-P was developed in order to avoid platerelated complication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hree patients with cervical degenerative disc disease were enrolled. Twelve of these were implanted with a stand-alone cage, and 11 patients received a Zero-P. The mean follow-up time was 16.7 months, ranging from 12 to 34 months.
Intraoperative parameters, clinical outcomes (Korean Neck Pain Disability Index [K-NDI],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for neck/arm pain), dysphagia scores, and device-related complications were recorded.
Results: At the 6-week, 3-month, 6-month, and 12-month follow up, the K-NDI and VAS scores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groups.
Dysphagia scores in both groups hav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However, the cage subsidence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tand-alone cage group (p<0.05).
Conclusions: Clinical outcomes of ACDF with the Zero-P were satisfactory. The incidence of cage subsidence was lower than with the conventional stand-alone cage.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2174.2016.23.2.009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