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증성 척수증 환자에서 조기 술후 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경추증성 척수증의 조기 술후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추증성 척수증 수술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실혈양이 많을수록, 수술 시간이 길수록, 전방-후방 혼합 수술적 접근법을 사용한 경우에서 수술주위기간 합병증이 증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경추 척수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 51명(남 32명, 여 19명, 평균 나이 6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1달이내발생한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인자로 환자의 나이, 성별, 증상 이환...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77 - 8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척추외과학회
01.06.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93-4378 2093-4386 |
Cover
Summary: | 연구계획: 후향적 연구.
목적: 경추증성 척수증의 조기 술후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알아보고자 한다.
선행문헌의 요약: 경추증성 척수증 수술에서 나이가 많을수록, 실혈양이 많을수록, 수술 시간이 길수록, 전방-후방 혼합 수술적 접근법을 사용한 경우에서 수술주위기간 합병증이 증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경추 척수증으로 수술 받은 환자 51명(남 32명, 여 19명, 평균 나이 61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술후 1달이내발생한 합병증을 조사하였으며, 인자로 환자의 나이, 성별, 증상 이환 기간, 흡연, 당뇨, 동반질환의 수, 술전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점수, 이환된 경추의 레벨 수, 후방 종인대 골화증, 수술 접근법, 유합술 여부, 수술 시간, 실혈양, MRI상 최대 척수 압박 레벨에서의 척수 압박 비율, T2 강조 영상상 척수 신호 강도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과: 51명의 환자 중 12명에서 조기 술후합병증이 발생하였으며(23.5%), 근력 저하 3예(5.9%), 폐렴 2예(3.9%), 폐혈전 색전증 1예(1.9%), 연하 곤란 1예(1.9%), 표재성 창상 감염 1예(1.9%), 창상 열개 1예(1.9%), 발작 1예(1.9%), 욕창 1예(1.9%), 혈종 1예(1.9%), 섬망 1예(1.9%)였다. 조기 술후합병증과 관련된인자는 수술 시간(p=0.024), MRI상 최대 척수 압박 레벨에서의 척수 압박 비율(p=0.009) 및 T2 강조 영상상 척수 신호 강도 변화(p=0.009)였고, 나이, 성별, 증상 이환 기간, 흡연, 당뇨, 동반질환의 수, 술전 JOA점수, 이환된 경추 레벨의 수, 후방 종인대 골화증, 수술 접근법, 유합술 여부, 실혈양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경추증성 척수증의 조기 술후합병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수술 시간, MRI상 최대 척수 압박 레벨에서의 척수 압박 비율과 T2 강조 영상상 척수 신호강도 변화이다. Study Design: Retrospective.
Objective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surgery for cervical spondylotic myelopathy (CSM).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Factors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complications from surgery for CSM are greater age, greater estimated blood loss, longer operative duration, and anterior-posterior combined procedures.
Materials and Methods: The records of patients (male 32, female 19, mean age 61 years) who underwent surgery for CSM between November 2004 and December 2014 were investigated for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potentially related factors. Factors considered were age, gender, duration of symptoms, diabetes, smoking, comorbidity, preoperative Japanese Orthopedic Association (JOA) score, numbers of cervical levels involved,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operative approach, fusion, operative duration, estimated blood loss (EBL), maximal cord compression ratio on MRI, and cord signal intensity change on T2-weighted MRI.
Results: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12 of 51 patients and included motor weakness in 3, pneumonia in 2, and delirium, dysphagia, hematoma, pulmonary thromboembolism, sore, seizure, wound dehiscence, and superficial infection, each in 1.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ere operative duration (p=0.024), maximal cord compression ratio on MRI (p=0.009), and cord signal intensity change on T2-weighted MRI (p=0.009). The other factors were not found to correlate significantly.
Conclusions: Factors associated with earl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for CSM are operative duration, compression ratio at the level of maximal cord compression on MRI, and cord signal intensity change on T2-weighted MRI.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2174.2016.23.2.004 |
ISSN: | 2093-4378 2093-438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