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전적 신앙양육을 위한 가정-교회연계 격대(隔代)교육, 아동기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1) 한국사회와 교회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이 지닌 신앙교육의 어려움, 3)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의 개인주의화와 사사화현상 등에 직면하여 통전적 신앙을 양육하는 아동기 격대교육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최근 신가족주의 운동과 다양한 학제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와는 다른 종류의 애정을 지닌 조부모는 손자녀의 성숙한 인성, 사회성, 지성의 발달과 더 나아가 신앙성숙 등에 있어서 청소년기 이후까지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격대교육은 손자녀들 뿐 아니라 조부모 자신들에게도 정서적 성취감, 생물학적 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angsin nondan pp. 291 - 322
Main Author 장신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01.03.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390
2713-7554
DOI10.15757/kpjt.2018.50.1.01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의 목적은 1) 한국사회와 교회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이 지닌 신앙교육의 어려움, 3)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의 신앙의 개인주의화와 사사화현상 등에 직면하여 통전적 신앙을 양육하는 아동기 격대교육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최근 신가족주의 운동과 다양한 학제연구결과에 의하면 부모와는 다른 종류의 애정을 지닌 조부모는 손자녀의 성숙한 인성, 사회성, 지성의 발달과 더 나아가 신앙성숙 등에 있어서 청소년기 이후까지 매우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한다. 격대교육은 손자녀들 뿐 아니라 조부모 자신들에게도 정서적 성취감, 생물학적 갱신감, 지혜와 지식 전수자로서의 보람, 자녀에게서 이루지 못한 목표 성취감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준다. 급속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한국교회에서는 다양한 능력을 갖춘 이러한 노년세대를 평생교육 차원에서 교육하여 자원화하고 창조 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내용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의 손자녀를 대상으로 통전적 신앙을 양육하는 가정-교회 연계 격대교육 모델을 제시 한다. 통전적 신앙이란 개인적, 실존적 차원과 더불어 신앙의 공동체적, 사회적, 공적, 생태적 차원까지를 포괄하는 균형잡힌 온전한 신앙을 뜻한다. 본 연구는 먼저 전통사회에서의 격대교육과 그 함의, 사회과학, 뇌과학, 신학, 기독교교육학등 학제적 관점에서 격대교육의 이론적 토대에 대하여 고찰하고, 이에 기초하여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과 교회의 연계를 중시하는 격대교육의 목적, 교육내용, 교육현장, 교사-학습자, 교수-학습 방법론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Family-Church Ties Grandparenting for Nurturing Holistic Faith: Focusing on the Childhood grandparenting model for grandchildren in their elementary school years, comprising of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 or tasks, educational fields, the teacher and learner,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KCI Citation Count: 6
ISSN:1229-1390
2713-7554
DOI:10.15757/kpjt.2018.50.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