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uillain-Barr? 증후군 환자의 치험 2례
Guillain-Barr Syndrome 은 하지로부터 서서히 상행하는 이완성 운동불능증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염증후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염으로, 자율신경계를 침범하는 예에서는 사망까지도 이를 수 있으므로 발병 초기의 감별이 중요하다. 두 증례에서 각각 虛勞와 脾胃氣虛로 辨證하여 六味地黃元과 補中益氣湯을 처방하고, 脾正格의 刺鍼, 灸治療를 통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통한 주증상의 호전 등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port the im...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pp. 189 - 198 |
---|---|
Main Authors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침구의학회
01.12.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86-288X 2586-2898 |
Cover
Loading…
Summary: | Guillain-Barr Syndrome 은 하지로부터 서서히 상행하는 이완성 운동불능증을 특징으로 하는 급성 염증후성 탈수초성 다발성 신경염으로, 자율신경계를 침범하는 예에서는 사망까지도 이를 수 있으므로 발병 초기의 감별이 중요하다. 두 증례에서 각각 虛勞와 脾胃氣虛로 辨證하여 六味地黃元과 補中益氣湯을 처방하고, 脾正格의 刺鍼, 灸治療를 통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통한 주증상의 호전 등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case is to report the improvement after the acupuncture therapy, and herbal medicine about two patients with Guillain-Barré Syndrome.
Methods : We treated the patients with acupuncture, moxibustion and herbal medication.
Results : We have experienced two case of Guillain-Barré Syndrome. One case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treatment, but one case had lingering symptoms.
Conclusions : In Guillain-Barre Syndrome, the initial diagnosis is important, and through a collaboration of Western and Korean medicine, We were able to achieve meaningful treatment results. KCI Citation Count: 6 |
---|---|
Bibliography: | G704-000258.2006.23.6.003 |
ISSN: | 2586-288X 2586-28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