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식행동수정이 운동중재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비만 여성의 체지방과 대사증후군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연구배경: 본 연구는 보건소 주간 12주 운동 중재 프로그램에 참가한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중재 기간 설문을 이용하여 동안 조사한 좌식 행동 수정이 비만지표와 대사증후군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비만 중년여성 38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을 이용한유산소 운동과 서킷 웨이트트레이닝, 유연성 운동으로 구성된12주 복합운동중재를 실시하였다. 복합운동중재와 더불어 모든 피검자를 대상으로 중재 기간 동안 매 식사 후 2시간 동안에는 앉기, 기대기, 드러눕기 등의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하는행동수정...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pp. 115 - 12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비만학회
01.06.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508-6235 2508-7576 |
DOI | 10.7570/kjo.2012.21.2.115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본 연구는 보건소 주간 12주 운동 중재 프로그램에 참가한 비만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중재 기간 설문을 이용하여 동안 조사한 좌식 행동 수정이 비만지표와 대사증후군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비만 중년여성 38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을 이용한유산소 운동과 서킷 웨이트트레이닝, 유연성 운동으로 구성된12주 복합운동중재를 실시하였다. 복합운동중재와 더불어 모든 피검자를 대상으로 중재 기간 동안 매 식사 후 2시간 동안에는 앉기, 기대기, 드러눕기 등의 자세를 취하지 않도록 하는행동수정을 실천할 것을 구두로 지시하고 실천정도를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 기록하게 하였다. 12주간의 중재 프로그램사전 및 사후에는 동일한 조건과 방법으로 신체구성, 체력, 혈중지질, 혈당, 인슐린, 호마지수 등을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후향적 방법으로 좌식행동수정 실천율의 정도에 따라 모든 피검자를 좌식행동수정을 실천한 정도에 따라 좌식행동수정 실천정도에 따라 하위 집단(low 25 percentile group, n = 10),중간 집단(middle 50 percentile group, n = 18) 상위 집단(high 25 percentile group, n = 10)으로 세분화하고 집단별 운동중재에 따른 비만지표 및 대사증후군의 개선정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를 포함한 신체구성변인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는 12주 운동중재 프로그램후에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뿐만 아니라 예상한 대로 이러한종속변인의 개선정도는 좌식행동수정 실천정도에 따라 하위집단 < 중간 집단 < 상위 집단 순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판단할 때 운동중재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위험인자의개선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좌식행동수정을 병행하는것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eneficial effects that sedentary behavior modification has on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obese women who participated in a 12 week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Methods: A total of 38 wo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a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The intervention included treadmill aerobic exercise, circuit weight training,stretching and sedentary behavior modification, which was done by reducing sitting time during postprandial periods.
Primary outcomes including body fat,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risk factors were measured prior to and after the intervention.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vention,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one of the following three groups; those who were in the high 25 percentile (n = 10,HIGH group) of reduced sitting time, those who were in the middle 50 percentile (n = 18, MID group), and those in low 25 percentile (n = 10, LOW group).
Results: Participating in the 12-week exercise intervention resulted in significant decreases in body weight,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metabolic risk factors. Improved parameters of body fat were proportionally and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reduced sitting time since the greatest improvements were found in the HIGH group, which were followed by those of the MID and LOW group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reduced sitting time can play a critical role in magnifying the beneficial effects of a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obesity and metabolic risk factors. KCI Citation Count: 6 |
---|---|
Bibliography: | G704-001955.2012.21.2.005 |
ISSN: | 2508-6235 2508-7576 |
DOI: | 10.7570/kjo.2012.21.2.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