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이내 대사증후군 이환의 위험예측인자에 관한 전향적 코호트 연구

배경: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 코호트(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자료를 활용하여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진단 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이환 가능성을 살펴보며 이환율을 높이는 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함으로써 생활습관의 교정과 정기적인 검진의 필요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 코호트(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자료의 건강설문조사와 건강검진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기저조사 후 2년째의 추적조사자료 대상자 총 1,...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obesity & metabolic syndrome pp. 148 - 155
Main Author 강윤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비만학회 01.09.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6235
2508-757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경: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 코호트(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자료를 활용하여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진단 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이환 가능성을 살펴보며 이환율을 높이는 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함으로써 생활습관의 교정과 정기적인 검진의 필요성을 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건강검진 수검자 코호트(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자료의 건강설문조사와 건강검진자료를 활용하여 수행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기저조사 후 2년째의 추적조사자료 대상자 총 1,893명이었다. 이환율을 종속변수로 하여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이환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령은 10살 간격의 분획구간으로 나누어 위험도를 비교하였고 체질량지수는 저체중군,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의 체중 분획별로 나누어 위험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대사증후군으로 이환될 위험예측인자는 연령과 체질량지수로 분석되었다. 즉, 연령이 분획별로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으로 이환될 가능성은 1.05배 증가하며, 체질량지수에 기준한 체중 분획별로 증가할수록 1.36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2년 이내 대사증후군 이환위험예측인자를 규명하고자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 이환 가능성의 위험예측인자는 연령과 체질량지수로 관찰되었다. 대사증후군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비만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edictive risk factors which cause metabolic syndrome and raise morbidity within the first two years by analyzing the 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data. The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emphasis on the need of lifestyle modification and regular health examinations. Methods: This prospective cohort study was conducted by analyzing data from the Health survey and examination section of Korea Health Examinee Cohort (KOEX) data. Total of 1,893 subjects were involved in basic assessments and follow up surveys conducted from years 2005 to 2010. Object of the study was to detect the predictiv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ithin two years, by placing morbid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severity of risk factors was compared by classifying age into decades and body mass index (BMI) into groups of either underweight, normal weight, or obese. Results: The predictiv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ere revealed as age and BMI.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creased by 1.05 fold and by 1.36 fold in correlation with increase in age and BMI, respectively. Conclusion: Age and BMI were shown to be the main predictiv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ithin the first two years according to this study. Well systematized weight control programs seem inevitable for preventing metabolic disorder.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1955.2015.24.3.001
ISSN:2508-6235
2508-7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