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유형에 따른 자아이미지와 색채 선호도의 상호 연계성 연구 -20-30대를 대상으로
색채는 인간의 심리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원으로 시간, 지역, 성향 및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공통적인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색채는 인간의 구매 행동에 주요한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되는데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색채 마케팅 전략 구축 및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색채 선호도 연구로 감성 구매 성향이 가장 짙은 2-30대를 중심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색채 선호와 자아 이미지와의 상호 연계성을 알아보고자했다. 4가지 성향으로 나뉘는 DISC 성격유형에 따른 색채 선호도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강한 자아와 목표 지향적이며...
Saved in:
Published in | 기초조형학연구, 19(1) pp. 511 - 52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기초조형학회
01.02.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19.1.39 |
Cover
Summary: | 색채는 인간의 심리 반응을 유발하는 자극원으로 시간, 지역, 성향 및 다양한 조건에 따라 공통적인 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색채는 인간의 구매 행동에 주요한 요인으로도 작용하게 되는데 이에 본 연구는 효과적인 색채 마케팅 전략 구축 및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색채 선호도 연구로 감성 구매 성향이 가장 짙은 2-30대를 중심으로 성격유형에 따른 색채 선호와 자아 이미지와의 상호 연계성을 알아보고자했다. 4가지 성향으로 나뉘는 DISC 성격유형에 따른 색채 선호도 설문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강한 자아와 목표 지향적이며 자신감이 넘치는 사람의 경우 강한 톤의 장파장 색상을, 낙관적이며 표현력이 풍부하며 열정적인 사람의 경우 강한 톤의 단파장 색상을 선호했다. 끈기가 있고, 안정적이며 충성심이 강한 사람의 경우 강한 톤의 색상과 검정색을, 분석적이고 체계적이며 이성적인 사람의 경우 약한 톤의 색상과 회색을 선호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물은 DISC 성격유형에 따른 이론적 분석과 준거체계를 색채 선호도와 연결시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고 기초적인 자료로서 기존 연구와 다르게 전략을 설정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물을 토대로 기업이나 색채 전문 업체에서 서로 다른 개인의 DISC 성격유형을 참고하여 소비자 구매효과를 높이기 위한 성격유형에 따른 감성색채 마케팅에 대한 새로운 가치를 도입하거나 프로그램을 수립하여 본 연구와 관련된 미래 연구에 그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Colors are a stimuli that induces psychological reaction in humans and common trends are found according to the time, region, disposition, and other various conditions. Furthermore, colors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purchase behavior of humans. This study investigated mutual relationship between color preference and self image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the consumer base that shows the strongest tendency of emotional purchase,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in order to provide theoretical basis for effective color marketing strategies. The result of survey on color preference according to 4 DISC personality types was as follows: subjects with a strong ego who are goal-oriented and confident preferred colors of strong tone and long wavelength while those who are optimistic, expressive, and enthusiastic preferred colors of strong tone and short wavelength. Subjects who were steady, stable, and loyal preferred colors of strong tone and black, those who are analytical, systematic, and rational preferred colors of weak tone and gray. The result presented in this study is worthy of the study because it provides a new perspective by linking the theoretical analysis and reference system according to DISC personality type to the color preference and sets the strategy differently from the previous research as the basic data.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refer to DISC personality types of different individuals in company or color company, and to introduce new value for emotional color market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can be suggested.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http://www.basic.or.kr/sub/sub0204_next_view.php?cate_idx=38&idx=967 |
ISSN: | 1598-8635 2713-5993 |
DOI: | 10.47294/KSBDA.19.1.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