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랭지배추의 Glucosinolate 및 Polyphenol 함량 변이와 에탄올 추출물의 퍼옥시솜증식체활성화 수용체γ(PPARγ) 발현 활성

고랭지에서 재배된 배추 40종의 생육반응 및 glucosinolate와 polyphenol 함량의 변이를 분석하였으며, 배추 잎 에탄올 추출물의 퍼옥시솜증식체활성화수용체γ(PPARγ)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황 및 질소 시용에 따른 glucosinolate함량 반응을 조사하였다. 배추의 품종에 따라 polyphenol 및 glucosinolate의 함량 차이가 나타났다. Glucosinolate epiprogoitrin은미량이 포함되어 있거나 검출되지 않았으며, 유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progoitrin은 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Weon'ye gwahag gi'sulji pp. 128 - 139
Main Authors 김기덕, 이준구, 서종택, 이종남, 유동림, 남정환, 손황배, 홍수영, 김율호, 김수정, 홍순춘, 조정수, 김도만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원예학회 01.02.2018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8763
2465-8588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고랭지에서 재배된 배추 40종의 생육반응 및 glucosinolate와 polyphenol 함량의 변이를 분석하였으며, 배추 잎 에탄올 추출물의 퍼옥시솜증식체활성화수용체γ(PPARγ)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황 및 질소 시용에 따른 glucosinolate함량 반응을 조사하였다. 배추의 품종에 따라 polyphenol 및 glucosinolate의 함량 차이가 나타났다. Glucosinolate epiprogoitrin은미량이 포함되어 있거나 검출되지 않았으며, 유채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progoitrin은 품종마다 함량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항암 효과가 있는 gluconasturttin은 다른 품종에 비해 아시아잎쌈배추에서 6.85μmol·g-1로 현저하게 높은 것을알 수 있었다. 황 시용량의 증가로 식물체 내 황 함량과 glucosinolate 함량이 증가하였다. 대체로 질소 시용량이 많아지면aliphatic glucosinolate인 progoitrin, gluconapin 및 glucobrassicanapin의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indolyl glucosinolate인glucobrassicin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 polyphenol 함량은 1.5-2.3mg GAE/g의 범위로 나타났다. 모든 배추 품종의 잎 에탄올 추출물이 PPARγ 활성을 2-4배 증가시켰다. Variations of polyphenol and glucosinolate level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40 cultivars of Kimchi cabbage cultivated in highlands were analyzed, in combination with the level of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γ (PPARγ) expression in ethanol extract from leaves. In addition, the effect of sulfur and nitrogen supply on the sulfur and glucosinolate content was investigated.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 and glucosinolate could be detected in the different cultivars of Kimchi cabbage. Glucosinolate epiprogoitrin was detected in small amounts or not detected, and the level of glucosinolate progoitrin showed clear-differences in different cultivars. The anti-carcinogenic glucosinolate gluconasturttin level in Kimchi cabbage (‘Asiaibssam’) leaves was higher than 6.85 μmol·g-1. Sulfur and glucosinolate levels in Kimchi cabbage leaves were dependent on the sulfur supply. The levels of the aliphatic glucosinolates progoitrin, gluconapin and glucobrassicanapin generall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nitrogen supply, but the indolyl glucosinolate glucobrassicin increased. The total polyphenol levels in Kimchi cabbage leaves ranged from 1.5 to 2.3 mg GAE/g. Leaf ethanol extracts of 40 cultivars of Kimchi cabbage cultivated in highlands, activated the expression of PPARγ 2-4 fold when compared with the negative control. KCI Citation Count: 3
ISSN:1226-8763
2465-8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