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을 이용한신규 미백 효과 측정 연구
여성의 얼굴에 과색소침착이 발생하는 것은 불안감, 특히 미적인 요소에 있어서 많은 고민을 유발한다. 피부의 흑화는 자외선(UV)에 대하여 이를 방어하기 위한 기작으로 멜라닌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피부의 구성성분을 관찰하기 위해,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은 피부에 직접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조직의 변화 없이 피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비침습적 이미지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유도된 하박 내측 피부의 과색소침착을 유도하여, 다른 피부색을...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화장품학회지, 41(3) pp. 279 - 28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사단법인 대한화장품학회
01.09.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587 2288-9507 |
DOI | 10.15230/SCSK.2015.41.3.279 |
Cover
Loading…
Summary: | 여성의 얼굴에 과색소침착이 발생하는 것은 불안감, 특히 미적인 요소에 있어서 많은 고민을 유발한다.
피부의 흑화는 자외선(UV)에 대하여 이를 방어하기 위한 기작으로 멜라닌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러한피부의 구성성분을 관찰하기 위해, confocal scanning laser microscope (CSLM)은 피부에 직접 현미경 검사를 실시하여 어떠한 조직의 변화 없이 피부를 실시간으로 관찰할 수 있는 비침습적 이미지 장치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유도된 하박 내측 피부의 과색소침착을 유도하여, 다른 피부색을 평가하는 측정기기와상관성을 분석하여, CSLM을 이용한 새로운 미백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CSLM을 활용한 미백 효능 평가법은소비자가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미백 제품을 평가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Hyperpigmentation on face is a highly anxiety-producing symptom, especially for women from the aspect of beauty. Pigmentation of the skin is related to the amount of melanin that provides protection against UV radiation.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is a non-invasive imaging tool allowing visualization of the skin without tissue alteration, by placing a microscopy directly on the living sk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new evaluation method of whitening effects using in vivo reflectance confocal microscopy and to validate other instruments for measuring skin colors, and UV-induced hyperpigmentation was elicited on the inside skin of the forearm. It suggested that the new method for whitening effects using the confocal microscopy was useful to evaluate the de-pigmentation products and to easy for understanding to customers.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2161.2015.41.3.009 |
ISSN: | 1226-2587 2288-9507 |
DOI: | 10.15230/SCSK.2015.41.3.2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