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우울장애 환자의 자살위험성과 생애초기스트레스 및 회복탄력성 사이의 연관성

생애초기스트레스가 우울증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부부폭력노출이 우울증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학대와 방임은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위험성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회복 탄력성은 우울증 발병을 예방할 수 있는능력이며 특히 자기조절능력이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의 보호요인이 될 수 있겠다. 이 연구 결과가 향후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 시도를 예방하는 데 회복탄력성 기반 치료 근거를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Singyŏng chŏngsin ŭihak pp. 386 - 393
Main Authors 허규형, 석정호, 최원정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경정신의학회 01.11.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생애초기스트레스가 우울증과 관련이 있으며 특히 부부폭력노출이 우울증과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체학대와 방임은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위험성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회복 탄력성은 우울증 발병을 예방할 수 있는능력이며 특히 자기조절능력이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의 보호요인이 될 수 있겠다. 이 연구 결과가 향후 우울증 환자에서 자살 시도를 예방하는 데 회복탄력성 기반 치료 근거를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suicide risk with early-life stress (ELS) and resilience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60 patients with MDD and 29 healthy volunteers. Each subject was assessed concerning ELS, resilience factors, suicide ideation, and depressive symptom severit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Mann-Whitney test and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Emotional abuse, physical abuse, neglect, and exposure to inter-parental violence were higher in the pati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Resilience facto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patient group.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final regression model including physical abuse, neglect, and self-regulation factor was significant explaining 45.6% variance of suicide ideation score. Conclusion We found that ELS experiences, particularly exposure to inter-parental violence, might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development of depression. In particular, experiences of physical abuse and neglect might increase the risk of suicide in depression but resilience may play a protective role in development of depression and prevention of suicide in depressive patients.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jknpa.org/
G704-001050.2014.53.6.005
ISSN:1015-4817
2289-0963
DOI:10.4306/jknpa.2014.53.6.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