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근관절 후과 골절의 방사선학적 분석과 치료

목적: 족근관절 후과 골절을 골절편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각 형태별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후과 골절이 있는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주 골절선을 따라 후과 골편을 위치별로 나눈 후 (후외과 골절, 후내과 골절, 후연 골절) 그에 따른 전위 정도, 족근관절의 아탈구 유무, 관절 침범 정도, 감입골절편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편의 위치에 따라 후외과 골절 (33예, 72%), 후내과 골절 (8예, 17%), 후연 골절 (5예, 11%)로 분류되었고, 후내과를 침범하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골절학회지, 22(2) pp. 98 - 103
Main Authors 이재성, 이한준, 고영봉, 강수용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골절학회 01.04.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족근관절 후과 골절을 골절편의 위치에 따라 분류하고, 각 형태별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후과 골절이 있는 4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주 골절선을 따라 후과 골편을 위치별로 나눈 후 (후외과 골절, 후내과 골절, 후연 골절) 그에 따른 전위 정도, 족근관절의 아탈구 유무, 관절 침범 정도, 감입골절편 여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골편의 위치에 따라 후외과 골절 (33예, 72%), 후내과 골절 (8예, 17%), 후연 골절 (5예, 11%)로 분류되었고, 후내과를 침범하는 골절 중 7예는 Grade II 이상의 전위를 보였으며, 아탈구도 4예에서 발생하였고, 관절면의 침범 정도도 35% (15∼65%)로 그 정도가 심하였고 감입골절편도 3예 (38%)에서 발견되었다. 결론: 후내과를 침범한 골편이 있는 경우 전위가 심하고 관절면을 많이 침범하여 족근관절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수술 전 컴퓨터 단층 검사로 보다 정확한 평가와 적절한 수술적 접근법 선택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fragments and to analyze radiologic features of each type.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forty-six patients of ankle fractures involving a posterior malleolus who were treated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7. The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osterolateral, posteromedial, shell) based on the major fracture line. In each type, we analyzed amount of displacement, involvement of articular surface, existence of subluxation and osteochondral impacted fragments. Results: The forty-six pati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Posterolateral (PL) type (33 cases, 72%), Posteromedial (PM) type (8 cases, 17%), shell type (5 cases, 11%). Of the 8 cases with PM type, 7 cases showed displacement more than Grade II, 4 cases showed subluxation of ankle joint, and 3 cases showed osteochondral impacted fragment. Average involvement of articular surface of PM type is 35% (15∼65%). Conclusion: Posterior malleolar fractures with medial extension tended to have adverse effect on ankle stability and Preoperative CT scan is essential for evaluation of fracture type and determination of appropriate surgical approach.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001459.2009.22.2.009
ISSN:1225-1682
2287-9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