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센셜오일 흡입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혈액형사상체질 집단 비교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에센셜오일 흡입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혈액형사상체질 집단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페퍼민트,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파인, 레몬을 12:4:2:1:1 비율로 혼합한 블렌딩 오일을 구성하여, 중년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블렌딩한 아로마 오일을 거즈에 적신 후 연구대상자의 뒷목에 28 min 동안 부착하였다. 심박변이도와 뇌파는 4 min 간격으로 흡입 전, 흡입 직후, 흡입 후 4 min, 8 min, 12 min, 16 min, 20 min, 24 min에 측정하였다. 결과: 블렌딩한 에센셜오...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5(3) pp. 311 - 321
Main Authors 허선희, 심준영, 유성모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09.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16.012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에센셜오일 흡입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을 혈액형사상체질 집단에 따라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페퍼민트, 로즈마리, 유칼립투스, 파인, 레몬을 12:4:2:1:1 비율로 혼합한 블렌딩 오일을 구성하여, 중년 여성 32명을 대상으로 블렌딩한 아로마 오일을 거즈에 적신 후 연구대상자의 뒷목에 28 min 동안 부착하였다. 심박변이도와 뇌파는 4 min 간격으로 흡입 전, 흡입 직후, 흡입 후 4 min, 8 min, 12 min, 16 min, 20 min, 24 min에 측정하였다. 결과: 블렌딩한 에센셜오일 흡입이 측정시점에따른 심박변이도와 뇌파의 변화가 혈액형사상체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평균 심박수, 자율신경계 균형도, 상대 알파파에서 에센셜오일 흡입 전후 측정시점에 따른 평균 값의 변화가 혈액형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페퍼민트 외 4종의 에센셜오일을 블렌딩한 냉성오일 흡입이 자율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이 개인의 혈액형사상체질에 따라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effects of inhalation of blended aroma essential oils on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according to blood type (BT). Methods: Peppermint, rosemary, eucalyptus, pine, and lemon essentials oils were mixed in the ratio of 12:4:2:1:1, respectively. In total, 32 middle-aged women inhaled the blended aroma oil for 28 min. Heart rate variability (HRV) was measured and an electroencephalogram (EEG) was conduct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4, 8, 12, 16, 20, and 24 min after essential oil inhalation. Results: Analysis revealed signifiant differences in BT-time interaction for average heart rate (HR), low frequency/high frequency activity ratio (LF/HF), and relative alpha. Conclusion: The effects of aroma essential oil inhalation on ANS are dependent on the duration of inhalation and individual BT.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http://dx.doi.org/10.20402/ajbc.2016.0126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16.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