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을 대상을 한 미국 및 유럽 폐활량 검사 재현성 기준의 유용성

연구배경: 본 연구를 통해 2005년도 ATS/ERS 폐활량검사 지침에서 제시한 재현성 기준을 한국 성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지와, 한국 성인들의 폐활량 검사 시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COPD 코호트, 지역사회 코호트로부터 얻은 성인 4,663명의 폐활량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dFVC 및 dFEV1를 계산하여 분포를 알아보고, 1994년도 ATS 지침 및 2005년도 ATS/ERS 지침을 만족하는 검사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개인적 특성 및 재현성 기준의 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pp. 405 - 411
Main Authors 박무석, 김세규, 장준, 김성규, 오연목, 이상도, 김영삼, 박병훈, 정우영, 변민광, 박선철, 신상윤, 전한호, 정경수, 문지애, 안성복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01.11.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3536
2005-618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본 연구를 통해 2005년도 ATS/ERS 폐활량검사 지침에서 제시한 재현성 기준을 한국 성인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지와, 한국 성인들의 폐활량 검사 시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국민건강영양조사, COPD 코호트, 지역사회 코호트로부터 얻은 성인 4,663명의 폐활량검사 결과를 이용하여 dFVC 및 dFEV1를 계산하여 분포를 알아보고, 1994년도 ATS 지침 및 2005년도 ATS/ERS 지침을 만족하는 검사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개인적 특성 및 재현성 기준의 변화가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결 과: 폐활량검사를 시행한 사람들 중 95% 이상이 150 ml 이내의 재현성 기준을 만족시켰다. 1994년도 ATS 지침에 따라 검사를 시행한 경우 재현성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증가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재현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신장, 연령, 체중, 폐쇄성폐질환 여부, 재현성 기준의 변화 등이었으나 재현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매우 작았다(0.5∼3.0%).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linical applicability of the repeatability criteria recommended by the American Thoracic Society/European Respiratory Society (ATS/ERS) spirometry guidelines and to determine which factors affect the repeatability of spirometry in Korean adults. Methods: We reviewed the spirometry data of 4,663 Korean ad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 (KNHANE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hort (COPD cohort) and the Community-based Cohort Study VI-Fishing village/Islands (community cohort). We measured the anthropometric factor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highest and second-highest FVC (dFVC) and FEV1 (dFEV1) from prebronchodilator spirometry. Analyses included the distribution of dFVC and dFEV1, comparison of the values meeting the 1994 ATS repeatability criteria with the values meeting the 2005 ATS/ERS repeatability criteria, and the performance of linear regression for evaluating the influence of subject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of criteria on the spirometric variability. Results: About 95% of subjects were able to reproduce FVC and FEV1 within 150 ml. The KNHANES based on the 1994 ATS guidelines showed poorer repeatability than the COPD cohort and community cohort based on the 2005 ATS/ERS guidelines. Demographic and anthropometric factors had little effect on repeatability, explaining only 0.5 to 3%. Conclusion: We conclude that the new spirometry repeatability criteria recommended by the 2005 ATS/ERS guidelines is also applicable to Korean adults. The repeatability of spirometry depends little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when an experienced technician performs testing. Therefore, we suggest that sustained efforts for public awareness of new repeatability criteria, quality control of spirograms, and education of personnel are needed for reliable spirometric results. (Tuberc Respir Dis 2007;63:405-411)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421.2007.63.5.002
ISSN:1738-3536
2005-6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