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작용 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리더신뢰의매개효과와 서번트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내부 구성원들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리더의 상호관계에 기반한 공정성, 리더신뢰, 서번트 리더십을 중심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 및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30부 중 355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을 기존의 리더관련 변수들과 연계해 분석한 점, 조직시민행동을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과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점, 서번트 리더십을리더관련 변수의 조절변수로 검증한 점 등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30(9) pp. 1673 - 1691
Main Author 홍권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9.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17.30.9.167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내부 구성원들의 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 중 리더의 상호관계에 기반한 공정성, 리더신뢰, 서번트 리더십을 중심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 및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30부 중 355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을 기존의 리더관련 변수들과 연계해 분석한 점, 조직시민행동을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과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점, 서번트 리더십을리더관련 변수의 조절변수로 검증한 점 등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 공정성은 관계지향(또는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신뢰는 관계지향(또는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리더신뢰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관계지향 조직시민행동 사이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신뢰는 상호작용 공정성과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 사이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증명되었다. 여섯째,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신뢰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상호작용공정성과 리더신뢰의 관계에 있어 서번트 리더십은 조절효과를 보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로경쟁모형을 통해 리더신뢰와 관계지향(또는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 있어 서번트 리더십이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 공정성과 관계지향(또는 도전지향) 조직시민행동의관계에 있어 리더신뢰와 서번트 리더십이 조절된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과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학문적 시사점은 앞서 적시한 연구의 의의와 같고, 경영실무적인 시사점은 조직시민행동을 높이기 위해 리더의 공정한 상호작용이 필요하며 이는 리더의 신뢰를매개로 하여 그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에 리더로 하여금 신뢰를 위해 진정성에 기반한 공정한 상호작용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리더의 신뢰를 높이기 위해 서번트 리더십을 발휘할 필요도 있을것이다. 이는 서번트 리더십이 리더의 신뢰를 기반으로 한 조직시민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한계점으로는 횡단연구가 가지는 문제, 데이터의 공통방법편의 문제 등이 존재한다. In a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rganizations are constantly striving for sustainable management by securing a unique competitive advantage. It is true that recent selfish and personal social and organizational cultures are reducing the altruistic behavior within the organization. In this reality,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factor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affiliation-oriented OCB, challenge-oriented OCB,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leader, the moderating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through empir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355 employees who were employed by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terac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with trust in leader. Second, interactional justice has a positive effect with affiliation-oriented OCB and challenge-oriented OCB. Third, trust in leader has a positive effect with affiliation-oriented OCB and challenge-oriented OCB. Forth, trust in leader has the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al justice and affiliation-oriented OCB, challenge-oriented OCB. Fifth,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effect with trust in leader. Sixth, servant leadership does not hav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trust in leader. Seventh, Through a competitive model servant leadership ha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rust in leader and affiliation-oriented OCB. Also, servant leadership has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trust in leader and challenge-oriented OCB. Finally, trust in leader and servant leadership has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affiliation-oriented OCB. Also, trust in leader and servant leadership has moderated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al justice and challenge-oriented OCB. The latter part of this stud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the significance of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 implications of the management practice are that the fair interaction of the leaders is needed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t will be necessary to induce fair interaction based on authenticity. It is also necessary to demonstrate servant leadership in order to increase the trust of the leader. It can be seen that servant leadership leads to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based on the trust of the leader. Limitations include the problems of cross-sectional studies and the common method of data. KCI Citation Count: 4
ISSN:1226-2234
2465-8839
DOI:10.18032/kaaba.2017.30.9.16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