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기후민감성 상록활엽수 지시종 현생화분의 형태분류학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기후민감성 상록활엽수 지시종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inne)와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에 대한 현생화분의 주요 형태분류학적 특징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현생화분의 형태학적 연구는 화석화분 감정(identification)의 중요한 핵심요소(criteria)로 활용되며 화석지표종과의 비교 검증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감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채집된 2종의 현생화분은 글리세린 젤리 봉합제를 사용하여 광학현미경 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3(6) pp. 833 - 844
Main Authors 이은미, 이상헌, 조경남, 김용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1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기후민감성 상록활엽수 지시종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inne)와 구실잣밤나무(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에 대한 현생화분의 주요 형태분류학적 특징을 데이터베이스화하였다. 현생화분의 형태학적 연구는 화석화분 감정(identification)의 중요한 핵심요소(criteria)로 활용되며 화석지표종과의 비교 검증을 통해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감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채집된 2종의 현생화분은 글리세린 젤리 봉합제를 사용하여 광학현미경 분석이 수행되었으며(동백나무: 25 개체, 구실잣밤나무: 25 개체), 주로 적도면도(equatorial-oblique view)를 기준으로 ×1,000배율에서 화분의 형태(shape, P/E ratio), 크기(size), 표면무늬(ornamentation), 외벽두께(wall thickness), 외벽구조(exine structure), 화분관구(apertures) 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와 다른 주변국들의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동종일지라도 화분의 크기 및 표면무늬 등은 각 지역마다 다소 상이하게 나타나며, 특히 한반도 남한지역에서 채집한 동백나무와 구실잣밤나무의 화분은 크기면에서 다른 주변국에 비해 크고 넓은 분포범위를 가진다. 따라서 화분의 형태적 특징이 지리적또는 환경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향후 동일한 실험절차에 따라 연구 대상범위를 확대하여 국내 다른 지역에서 추가적인 현생화분의 형태학적인 비교분석을 수행 할 예정이다. 이러한 분석기반 자료는 향후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홀로세 동안 고식생 및 고환경 복원연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An identification of species level in Quaternary pollen analysis is strongly requested to reconstruct more reliable vegetation history. The precise morphological analysis of the modern pollen plays an important role to taxonomically identify the fossil pollen grains. We here have built the database of detailed pollen morphological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climate-sensitive species such as Camellia japonica Linne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from the mother plant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quantitatively analyzed all diagnostic features including shape, size, ornamentation, wall thickness, aperture and so on by Light Microscope (L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observation. 25 pollen grains of each 2 species were morphologically analyzed in the equatorial view. Especially pollen size of Camellia japonica Linne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Nakai in this study area are a larger and a wider size range than that of these taxa from the neighbor countrie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arry out the morphological comparative analysis of additional modern pollen in different areas of South Korea under the same experimental procedure to figure out whether pollen morphological features are affected by geographical or environmental factors even in the homogeneous species. The results can help to improve an accuracy of palynomorph analysis enabling the species-level identification. Therefore, more reliable reconstruction of paleo-vegetation change and climate history based on species-level palynomorph analysis could be conducted from the Holocene sediments of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KCI Citation Count: 3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7.53.6.8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