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분지 지층들의 지질시대에 관한 고찰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된 경상분지 대상의 고생물 자료, 고지자기 자료, 절대연대 자료 등을 고찰하여묘곡층을 비롯한 경상분지 각 지층의 가능한 퇴적시기의 범위를 현재의 자료 조건에서 정리한 결과, 각 지층과층군들의 경계부 연대가 수백만 년에서 수천 만 년까지 중첩되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상누층군의 지층들이 암층서 지층들임으로 각 지층의 퇴적시기가 분포 지역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에 부분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어느 한 지역에서 이루어진 암층서 지층에 대한 연대자료가 그 지층이 분포하는 모든 지역에 해당되는 것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49(1) pp. 17 - 29
Main Authors 강희철, 백인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보고된 경상분지 대상의 고생물 자료, 고지자기 자료, 절대연대 자료 등을 고찰하여묘곡층을 비롯한 경상분지 각 지층의 가능한 퇴적시기의 범위를 현재의 자료 조건에서 정리한 결과, 각 지층과층군들의 경계부 연대가 수백만 년에서 수천 만 년까지 중첩되어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경상누층군의 지층들이 암층서 지층들임으로 각 지층의 퇴적시기가 분포 지역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에 부분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어느 한 지역에서 이루어진 암층서 지층에 대한 연대자료가 그 지층이 분포하는 모든 지역에 해당되는 것은 아님으로, 경상분지 내 각 지층의 퇴적시기를 보다 명확히 결정하기 위해서는 신뢰도 높은 절대연령의 추가적인 산출은 물론, 연대 측정의 대상 지역이 공간적으로 보다 폭 넓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측정 자료들에 대한 층서적인 검토와 분석이 다각적으로 뒷받침 되었을 때, 경상분지 각 지층들의 지질시대 결정이 신뢰성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Paleontological, paleomagnetic, and absolute age data of the Gyeongsang Basin are reviewed to get the most probable ranges of the geological ages for the formations of the Gyeongsang Basin. The overlapping of the geological ages of the boundaries between the formations and the groups in a few million years to a few tens of million years may be attributed to that they are lithostratigraphic boundaries varying in ages laterally. Since the age data for the lithostratigraphic units in certain areas do not represent the geological ages of the units, age data should be produced in more wide areas in order to determine the exact geological ages of the formations of the Gyeongsang Basin. In addition stratigraphic anaysis for the age data are needed. KCI Citation Count: 20
Bibliography:G704-000209.2013.49.1.009
ISSN:0435-4036
2288-7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