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이 논문은 경기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연구결과이다. 탄도분지는 분지 주변 기반암의 엽리궤적과 기반암의 변위를 통해 북서 및 남동 가장자리는 북동-남서 주향의 좌수향 주향이동단층, 북동 및 남서 가장자리는 북서-남동 주향의 정단층에 의해 구획된 마름모꼴 인리형 분지로 해석된다. 분지충전물에 대해 입자유형, 입자크기 그리고 일차 퇴적구조를 기준으로 총 22개의 퇴적상으로 구분하였고,퇴적상 구성 및 층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위로부터 (1) 충적평원 퇴적층(상조합 I), (2) 충적선상지 말단부 퇴적층(상...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49(1) pp. 47 - 71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02.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이 논문은 경기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백악기 탄도분지의 퇴적환경과 분지발달 연구결과이다. 탄도분지는 분지 주변 기반암의 엽리궤적과 기반암의 변위를 통해 북서 및 남동 가장자리는 북동-남서 주향의 좌수향 주향이동단층, 북동 및 남서 가장자리는 북서-남동 주향의 정단층에 의해 구획된 마름모꼴 인리형 분지로 해석된다.
분지충전물에 대해 입자유형, 입자크기 그리고 일차 퇴적구조를 기준으로 총 22개의 퇴적상으로 구분하였고,퇴적상 구성 및 층의 형태를 기준으로 하위로부터 (1) 충적평원 퇴적층(상조합 I), (2) 충적선상지 말단부 퇴적층(상조합 II), (3) 하구사주 퇴적층(상조합 III), (4) 안산암질 응회각력암(상조합 IV), (5) 유문암질 화산력 응회암(상조합 V), 그리고 (6) 호성 퇴적층(상조합 VI) 등 총 6개의 상조합으로 묶었다. 대기하 퇴적환경(상조합 I &II)에서 수중 퇴적환경(상조합 III)으로의 급격한 퇴적환경 변화와 두꺼운 화산쇄설암의 집적(상조합 IV & V)은 분지의 확장 및 침하의 가속과 함께 발생한 대규모 화산분출에 의해 분지가 빠르게 충전된 것으로 해석된다.
분지충전물이 서쪽에서 동 내지 북동방향으로 젊어져 퇴적중심지가 이 방향으로 이동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분지 동편의 단층들이 분지 발달의 주 단층으로 역할을 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이 연구결과는 아직까지 연구가 미흡했던 경기육괴 지역 퇴적분지들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향후 옥천대 이남 백악기 퇴적분지들과 함께 백악기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의 지각진화와 조구조운동을 이해하는데 의미 있는 자료로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of the depositional environment and basin development of the Cretaceous Tando Basin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Gyeonggi Massif. On the basis of the foliation form line and displacement of the basement rocks, the basin is interpreted as a rhomboidal pull-apart basin. The basinfill consists of 22 sedimentary facies that can be grouped into six facies associations (FA) based on constituent facies and bed geometry: (1) floodplain deposit (FA I), (2) alluvial-fan margin deposit (FA II), (3) mouth-bar deposit (FA III), (4) andesitic tuff breccia (FA IV), (5) rhyolitic lapilli tuff (FA V) and (6) lacustrine deposit (FA VI) in ascending order. Changes of depositional environments from subaerial (FA I & II) to subaqueous (FA III), followed by thick accumulation of volcaniclastic deposits (FA IV & V), suggest accelerating basin extension and subsidence together with huge volcanic eruptions. Offset stacking of the basinfill strata from the west to the east or northeast is indicative of migration of the depocenter into that direction, and suggests that the faults in the eastern part of the basin acted as a master fault for the basin development. This study of the Tando Basin can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the previously unstudied sedimentary basins in the Gyeonggi Massif and can be used for a future study of the other Cretaceous sedimentary basins to the south of the Okcheon fold belt and the regional tectonic and crustal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NE Asia. KCI Citation Count: 5 |
---|---|
Bibliography: | G704-000209.2013.49.1.006 |
ISSN: | 0435-4036 2288-737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