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 속도 기반으로 비탈면 붕괴 구간 예측 모델의 개발

비탈면의 붕괴구간 예측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으로 상시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붕괴 구간 예측을 위해서 비탈면 변위 또는 속도 데이터와 같은 측정 데이터를 응용하여 모델로 구현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또한, 대부분의 예측 모델 연구는 시간에 따른 변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붕괴 전후의 변화를 통한 붕괴시점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변위 데이터와 속도 데이터의 경향성을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규화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기존에 제안된 모델은 선형 함수를 응용한 역속도 방정식 이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기존의 선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49(2) pp. 267 - 273
Main Authors 옥영석, 신상희, 김승현, 구호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4.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비탈면의 붕괴구간 예측을 위한 지속적인 관리 시스템으로 상시 계측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 붕괴 구간 예측을 위해서 비탈면 변위 또는 속도 데이터와 같은 측정 데이터를 응용하여 모델로 구현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또한, 대부분의 예측 모델 연구는 시간에 따른 변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붕괴 전후의 변화를 통한 붕괴시점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변위 데이터와 속도 데이터의 경향성을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정규화 모델을 수립하는 것이다. 기존에 제안된 모델은 선형 함수를 응용한 역속도 방정식 이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기존의 선형 방정식을 이용한 역속도 방정식 대신 지수방정식을 이용하여 붕괴 가능 시점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모델은 획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수형태의 모델 방정식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붕괴 가능 시점의 예측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역 지수 속도 모델의 적정성 검증을 위하여 OO 지구에 대한 실측 변위데이터를 통하여 역 지수 속도 모델 방정식을 이용한 붕괴 가능 시점과 실제적으로 발생한 붕괴 시점을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실제로 붕괴가 발생된 시점은 설치 기준으로 부터 1160일 이후였으며, 제안된 역 지수 속도 모델을 이용한 붕괴 가능 시점에 대한 예측일은 약 1000일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에서 제안한 비탈면 붕괴 예측 모델은 실제로 붕괴가 된 시점을 예측 한 다기보단 붕괴가능성이 있는 시점을 예측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The slope failure prediction interval model is proposed for determining changing tendency of the displacement and the velocity. Normally, the monitoring system is a sustainable management system for the prediction of slope failure. In order to predict the slope failure, the research is ongoing to implement into the model by the application of measured data, such as the slope displacement data or velocity data. Most of prediction model studies has been conducted as a method to predict the change of before and after the failure point by time-dependent displacement data. The earlier studies is based on linear function on inverse velocity equation. However, this study presents a model that the point (interval) of slope failure establishes the inverse velocity equation by exponential equation instead of conventional linear equations. The point of slope failure is predicted by proposed model on obtained data which is the exponential form of the model equations. The adequacy of inverse velocity exponential equation is verified on measured displacement data at OO site. The verification of prediction model is compared to the time of actually occurred slope failure which it uses the exponential model equations. The actual failure point and predicting failure point are compared for improving the prediction model. The point of actual failure is to 1160 days after installed the monitoring system. The point of predicting failure is to about 1000 days based on the inverse velocity model In summary, the proposed slope failure prediction model allows to predict the point at which the possibility of failure rather than the exact time of the failure.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209.2013.49.2.003
ISSN:0435-4036
2288-73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