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우 젊은 곶자왈 용암류의 연대: 곶자왈 형성의 주요원인

화산섬 제주도에서는 용암류 상에 형성된 독특한 자연숲을 ‘곶자왈’ 이라 부른다. 본 연구는 곶자왈 용암류의 연대를 밝히기 위하여 용암류 하위에 놓이는 고토양층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및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연대 측정결과, 조천 곶자왈(< 11 ka), 애월곶자왈(< 10.4 ka), 한경곶자왈(< 6 ka), 교래곶자왈(< 8 ka)에서 약 1만년 이내의 연대를 얻었다. 최근 보고된 안덕곶자왈(< 5 ka : Lee et al., 2014b) 또한 매우 젊은 연대를 보인다. 제주도 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2(4) pp. 433 - 441
Main Authors 안웅산, 최형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8.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6.52.4.43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화산섬 제주도에서는 용암류 상에 형성된 독특한 자연숲을 ‘곶자왈’ 이라 부른다. 본 연구는 곶자왈 용암류의 연대를 밝히기 위하여 용암류 하위에 놓이는 고토양층에 대하여 방사성탄소연대측정 및 광여기루미네선스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연대 측정결과, 조천 곶자왈(< 11 ka), 애월곶자왈(< 10.4 ka), 한경곶자왈(< 6 ka), 교래곶자왈(< 8 ka)에서 약 1만년 이내의 연대를 얻었다. 최근 보고된 안덕곶자왈(< 5 ka : Lee et al., 2014b) 또한 매우 젊은 연대를 보인다. 제주도 고토양층 및 지표 퇴적물의 퇴적률을 고려할 때, 곶자왈 용암류의 매우 젊은 연대는 지표 토양층이 매우 빈약한 제주 곶자왈들의 공통적 특징을 잘 설명할 수 있다. 즉, 제주 화산활동에있어 가장 최근에 분출한 용암류 표면에는 토양이 퇴적되거나 침전되는 시간이 매우 짧아 농사에 적합할 정도의 두께로 토양층이 생성되지 못하였고, 이로 인해 젊은 용암류 지대는 농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자연숲, 즉 곶자왈로 남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In Jeju Island, Korea, unique natural forests, developed upon basaltic lava flows, are referred to as "Gotjawal" in the local language. This study focuses on determining the ages of the Gotjawal lavas based on radiocarbon and OSL datings of paleosol beds underlying the lavas. The result shows that the ages of Gotjawal lavas in different regions are varied but commonly less than ca. 10 ka (i.e., < 11 ka in Jocheon Gotjawal, < 10.4 ka in Aewol Gotjawal, < 6 ka in Hankyeong Gotjawal and < 8 ka in Gyorae Gotjawal). Also, a recent study of Andeok Gotjawal reported a very young age (< ca. 5 ka: Lee et al., 2014b) similar to the result of this study. Considering the mean sedimentation rate of paleosol or epiclastic sediment on Jeju Island, the common small thicknesses of recent soil beds on the Gotjawal account for the young ages of the Gotjawal forming lava flows. That is to say, there was no time enough to develop significant soil beds over the young Gotjawal lavas. It appears that the limited soil on Gotjawal terrains restricted agricultural activity, and left the regions as natural forests, "Gotjawal".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0209.2016.52.4.010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6.52.4.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