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북도 진천-음성군 일대에 발달한 금왕단층의 시간-공간적 활동형태
ESR 수치연대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제4기 동안 충청북도 진천군 및 음성군 일대에 발달하는 금왕단층의시간-공간적 활동형태를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금왕단층에는 백악기 흑운모화강암으로부터 유래된 파쇄암과 백악기 이암 사이에 약 90 cm폭의 단층비지로 이루어진 단층핵이 발달하고 있다. 파쇄암과 단층비지 사이에발달된 단층면의 태위는 N66oE/70oSE이며, 이암과 단층비지 사이에 발달된 단층면의 태위는 N60oE/65oSE이다. 백악기 이암 내 단층손상대에는 Y-전단, R-전단, R’-전단, P-전단 방향으로 부수단층들이 발달되어...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0(6) pp. 735 - 75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12.201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14.50.6.735 |
Cover
Summary: | ESR 수치연대 측정방법을 이용하여, 제4기 동안 충청북도 진천군 및 음성군 일대에 발달하는 금왕단층의시간-공간적 활동형태를 연구하였다. 연구지역의 금왕단층에는 백악기 흑운모화강암으로부터 유래된 파쇄암과 백악기 이암 사이에 약 90 cm폭의 단층비지로 이루어진 단층핵이 발달하고 있다. 파쇄암과 단층비지 사이에발달된 단층면의 태위는 N66oE/70oSE이며, 이암과 단층비지 사이에 발달된 단층면의 태위는 N60oE/65oSE이다. 백악기 이암 내 단층손상대에는 Y-전단, R-전단, R’-전단, P-전단 방향으로 부수단층들이 발달되어 있다. 연구지역에서 주 단층 및 부수단층으로부터 얻은 ESR 연대는 약 560 ka부터 140 ka에 이른다. ESR 연대자료는연구지역에 발달하는 금왕단층이 장주기를 가지고 플라이오세까지 반복적으로 재활동 했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반복적인 재활동은 금왕단층의 북동쪽에서 실시된 기존연구에서도 보고되었다. ESR 연대자료에 의하면 금왕단층의 단층활동이 주향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향을 보인다. We investigated space-time patterns of Quaternary fault activity of the Keumwang Fault developedin the Jincheon-gun and Eumseong-gun regions, Chungcheongbuk-do, using ESR dating method. The fault corewhich consists of 90 cm thick fault gouge was developed between the cataclasite derived from Cretaceous biotitegranite and Cretaceous mudrocks in the study area. The fault plane developed between cataclasite and fault gougestrikes N66oE and dips 70oSE and the fault plane between mudrocks and fault gouge strikes N60oE and dips 65oSE.
Some subsidiary faults including R-shear, R’-shear, P-shear and Y-shear were developed in the damage zone ofCretaceous mudrocks. ESR dates from the main fault strand and subsidiary faults range from 560 ka to 140 ka.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long-term cyclic fault activity of the Keumwang Fault in the study area continuedinto the Pleistocene. Similar cyclic patterns of fault activity were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of the Northeastregion of the Keumwang Fault. ESR ages also indicate that fault activities appear to migrate along the strike ofthe Keumwang Fault. KCI Citation Count: 6 |
---|---|
Bibliography: | G704-000209.2014.50.6.002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14.50.6.7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