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기지괴 서부와 중국 주요지괴에 분포하는 신원생대 및 고생대 암류의 지구조적 특성 대비: 지질연대학적 의미
중국의 대륙충돌대인 친링-다비-수루대와의 지구조적 대비로 주목받고 있는 경기지괴 서부지역에는 로디니아 초대륙 관련 신원생대 화성작용, 고생대 초-중기 칼레도니아 조산운동, 고생대 고테티스해의 퇴적작용 등에대한 복합적인 증거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논평은 경기지괴 서부지역과 중국의 다양한 신원생대 및 고생대 암석에서 보고된 저어콘 U-Pb 연대측정 자료를 비교하고, 이들 암석의 지각진화 및 동아시아 지구조 특성 대비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지괴 서부의 신원생대 로디니아 초대륙 관련 암석의 산출과 지질연대자료는 이 지...
Saved in:
Published in | 지질학회지, 51(5) pp. 511 - 52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지질학회
01.10.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중국의 대륙충돌대인 친링-다비-수루대와의 지구조적 대비로 주목받고 있는 경기지괴 서부지역에는 로디니아 초대륙 관련 신원생대 화성작용, 고생대 초-중기 칼레도니아 조산운동, 고생대 고테티스해의 퇴적작용 등에대한 복합적인 증거들이 보고되고 있다. 본 논평은 경기지괴 서부지역과 중국의 다양한 신원생대 및 고생대 암석에서 보고된 저어콘 U-Pb 연대측정 자료를 비교하고, 이들 암석의 지각진화 및 동아시아 지구조 특성 대비연구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경기지괴 서부의 신원생대 로디니아 초대륙 관련 암석의 산출과 지질연대자료는 이 지역이 남중국의 양쯔지괴, 강남조산대, 케세이시아지괴 등과 대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이 지역에서의 고생대 초-중기 변성퇴적암 및 화성암류, 그리고 고생대 중-후기 퇴적암(태안층)의 저어콘 연대분포는 중국의 친리안-친링 대륙충돌조산대, 양츠지괴와 케세이시아지괴의 고생대 초-중기 퇴적암-변성퇴적암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북중국의 고생대 퇴적암의 저어콘 연대분포와는 차이를 보인다. 결과적으로경기지괴 서부지역의 신원생대 및 고생대 암석의 산출양상 및 지질연대는 남중국지괴 혹은 주변조산대의 일부와 유사하며, 특히 고생대 퇴적암들의 연대경향은 남중국지괴로부터 기원물질이 유래되었음을 지시한다. 하지만 한반도와 중국 사이에 신뢰할 수 있는 지구조 대비를 위해서는 추후 좀 더 자세한 광역적 지질연대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This note compares compiled detrital zircon U-Pb age data of various Neoproterozoic and Paleozoic rocks from the western Gyeonggi massif with those from the Chinese continents. The occurrences of Neoproterozoic rocks and the geochronological data from the western Gyeonggi massif can be correlated to those of the Yangtze and Cathaysia blocks associated with the amalgamation of the Neoproterozoic Rodinia supercontinent. The Early to Middle Paleozoic metaedimentary rocks and Middle to Late Paleozoic sedimentary rocks (Taean Formation) in this area are also compared with age populations from the Yangtze and Cathaysia blocks and Qilian-Qinling orogenic belt in China. However, age population in these areas are different with those from the North China blocks.
As a result, the occurrences and geochronologies of the Neoproterozoic and Paleozoic rocks of the western Gyeonggi block in Korea are likely consistent with those of the South China block or the orogenic belt around the South China block in China. Especially, age populations of the Paleozoic sedimentary rocks strongly indicate that the sedimentary sequences were derived from similar peripheral clastic provenance of the South China block.
Additional insitu regional-scale detailed geochronological study will be required to complete tectonic comparison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China. KCI Citation Count: 2 |
---|---|
Bibliography: | G704-000209.2015.51.5.005 |
ISSN: | 0435-4036 2288-7377 |
DOI: | 10.14770/jgsk.2015.51.5.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