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남동부 마이오세 포항분지 내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에 관한 연구

한반도 남동부 마이오세 포항분지 내 대염수층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을 위한 파일럿 규모 후보지를 선정하기 위해, 구조지질, 퇴적학, 대심도 시추, 물리탐사 그리고 대상 지층에 대한 수리적 특성 등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포항분지 동부 해안가 3개 지점에서 이산화탄소 초임계상태의 한계인740 m 보다 깊은 심도에 저장층으로 유망한 역암 및 사암의 조립질 암체가 존재하고 이를 두꺼운 이암층이 피복하고 있음이 드러나, 이곳에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로서 가능한 층서 트랩이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1(1) pp. 53 - 66
Main Authors 송철우, 손문, 손영관, 한래희, 신영재, 김정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2.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5.51.1.5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한반도 남동부 마이오세 포항분지 내 대염수층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실증을 위한 파일럿 규모 후보지를 선정하기 위해, 구조지질, 퇴적학, 대심도 시추, 물리탐사 그리고 대상 지층에 대한 수리적 특성 등의 자료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포항분지 동부 해안가 3개 지점에서 이산화탄소 초임계상태의 한계인740 m 보다 깊은 심도에 저장층으로 유망한 역암 및 사암의 조립질 암체가 존재하고 이를 두꺼운 이암층이 피복하고 있음이 드러나, 이곳에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후보지로서 가능한 층서 트랩이 형성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곳에는 분지의 확장 이후 지하 단층이 재활한 증거가 발견되고 있어, 이 지역에 대한 세밀한 추가조사를 통한 지중저장 후의 누출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assess the geological storage potential of CO2 in saline aquifers of the Miocene PohangBasin, SE Korea, a synthetic analysis of structural, stratigraphic, deep drilling, and geophysical data with hydraulicfeatures of basin-fill has been carried out. As a result, three potential storage sites along the eastern coastline ofthe basin, which satisfy the criteria for CO2 storage, were determined. In these sites, coarse-grained reservoir rocksthat are overlain by thick caprock mudstones are distributed beyond a minimum depth (740 m) for CO2 supercriticalphase as an efficient stratigraphic trap. However, geological evidences, indicative of the reactivation of buriedfaults after the basin opening due to a tectonic inversion, are found in the sites. It is thus concluded that CO2 leakageafter injection should be evaluated through further sophisticated investigations. KCI Citation Count: 17
Bibliography:G704-000209.2015.51.1.004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5.5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