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성인 여성에서 혈청 C-reactive Protein 농도와 인슐린저항성 증후군 및 Estradiol 농도의 관계

연구배경: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을 기본으로 비만, 고혈압, 내당능장애, 이상지혈증 등을 동반하는 질환군으로서 최근 이 질환이 전신적 염증반응의 결과임을 암시하는 CRP 등의 여러 급성기 반응물질들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들이 알려지고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이 뇌졸중 등의 뇌혈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따라서 저자 등은 성인 여성에서 전신적 염증반응의 유용한 지표인 혈청 CRP 농도와 혈청 E2 농도를 측정하여 서로의 상관관계 및 대사증후군의 지표들과 비교하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Diabetes & metabolism journal pp. 324 - 337
Main Authors 김난희, 최동섭, 백세현, 김권범, 서지아, 김신곤, 최경묵, 김희영, 이계원, 오정헌, 신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당뇨병학회 01.08.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6079
2233-6087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은 인슐린저항성과 고인슐린혈증을 기본으로 비만, 고혈압, 내당능장애, 이상지혈증 등을 동반하는 질환군으로서 최근 이 질환이 전신적 염증반응의 결과임을 암시하는 CRP 등의 여러 급성기 반응물질들이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들이 알려지고 있다. 또한 에스트로겐 보충요법이 뇌졸중 등의 뇌혈관 질환을 악화시킬 수 있다는 보고들이 있다. 따라서 저자 등은 성인 여성에서 전신적 염증반응의 유용한 지표인 혈청 CRP 농도와 혈청 E2 농도를 측정하여 서로의 상관관계 및 대사증후군의 지표들과 비교하여 그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안산 지역 역학 조사에 포함된 18세 이상의 당뇨병이 없는 성인 여성 8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군에서 체질량지수, 복부/둔부 둘레비(waist-hip ratio)를 측정하였고, 체지방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공복혈당,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당부하 후 2시간 혈당, 인슐린 등 대사성 지표들과 혈청 CRP 및 E2 농도를 측정하고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동양인 체격에 맞추어 변형한 NCEP-ATP III 진단기준과 AACE 진단기준에 따라 대상군이 가지는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구성인자 수에 따라 각각 네 군으로 나누고 각 군에서 CRP 농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성인 여성 891명(폐경 전 602명, 폐경 후 22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폐경 유무에 따라 각 집단의 신체계측 및 생화학 검사를 시행하였다. 대사증후군의 각 구성요소들과 CRP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시행하고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변수들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혈청 E2 농도, 총지방량, 총콜레스테롤, 백혈구 수, 수축기 혈압 등이 혈청 CRP 농도에 영향을 주는 독립적인 인자로 확인되었다. 혈청 E2 농도와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및 생화학적 지표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혈청 E2 농도와 상관성이 관찰된 변수들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나이, HOMA-IR, 총콜레스테롤, 혈청 CRP 농도가 혈청 E2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적인 인자로 확인되었다. 대상군을 NCEP-ATP III 보고서에서 제시한 기준을 동양인 체격에 맞추어 변형하여 대사증후군의 구성인자를 가진 수에 따라 네 군으로 구분하고, 각 군 간의 혈청 CRP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CRP 농도는 각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000)를 보였다. AACE에서 제시한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진단기준에 따라 대상군을 네 군으로 구분하고 각 군 간의 혈청 CRP 농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각 군에서 혈청 CRP 농도(p=0.030)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에서 CRP 농도와 E2 농도간에 상관성이 있고, 혈청 E2 농도는 총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 및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음의 상관관계,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 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에스트로겐이 체내에서 지질대사에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 증후군의 인자의 숫자에 따라 각 대상군을 구분한 결과 각 군별로 보유인자 수와 혈청 CRP 농도는 유의한 비례관계를 보여 대사증후군에서 CRP 농도가 증가한다는 것과, 내인성 에스트로겐이 체내에서 심혈관계 및 인슐린 감수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 Background: Several reports have recently suggest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MS) or insulin resistance syndrome (IRS) and markers of the acute-phase response, including C-reactive protein(CRP). These results imply that MS and type 2 diabetes are the results of ongoing inflammatory process. Whether estrogen plays a beneficial role in preventing atherosclerosis has been a matter of controvers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um levels of estradiol(E2) and the components of the MS and CRP in nondiabetic subjects of Ansan Health Study(AHS). Methods: Eight-hundred and ninety-one healthy non-diabetic women aged over 18 years were enrolled. After measurements of the anthropometric and metabolic parameters, correlat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regard to the CRP level, as a dependent variable, and with regards to age, blood pressure(BP), body mass index(BMI), lipid profiles, fasting plasma glucose levels, HOMA-IR and fat content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CRP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E2 level, total fat content, leukocyte counts, and total cholesterol level in all subjects and the serum E2 levels was correlated with age, HOMA-IR, total cholesterol and the CRP level.When subjects were grouped according to their number of MS or IRS components, the CRP levels were found to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S and IRS groups. Conclusion: As a marker of chronic inflammation, the serum CRP level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the components of MS and IRS. Also, the serum CRP and E2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estrogen and CRP might play some independent roles in chronic inflammation which is a part of MS and IRS(J Kor Diabetes Assoc 28:324~337, 2004).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SER000002700.2004.28.4.003
ISSN:2233-6079
2233-60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