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한국인의 연령에 따른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을 이용한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 혈관 분석
목적: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에서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미세혈관구조에 대한 연령군별 표준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대교정시력이 1.0 이상이며 비문증 또는 안구건조증 외 다른 안 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는 20세 이상 성인 43명(80안) 을 연령대별로 모집하였다. 황반을 중심으로 한 3 × 3 mm2 면적에 대한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DRI OCT Triton, Swept Source OCT, Topcon, Tokyo, Japan)을 시행하여 표층 및 심부모세혈관총의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넓...
Saved in:
Published in | Daihan angwa haghoi jabji pp. 1058 - 1065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안과학회
01.09.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목적: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을 이용하여 정상 한국인에서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미세혈관구조에 대한 연령군별 표준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최대교정시력이 1.0 이상이며 비문증 또는 안구건조증 외 다른 안 질환이나 전신질환이 없는 20세 이상 성인 43명(80안) 을 연령대별로 모집하였다. 황반을 중심으로 한 3 × 3 mm2 면적에 대한 빛간섭단층촬영혈관조영술(DRI OCT Triton, Swept Source OCT, Topcon, Tokyo, Japan)을 시행하여 표층 및 심부모세혈관총의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넓이와 혈관 밀도를 측정하고 중심황반두께, 중심맥락막두께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표층 및 심부모세혈관총에서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 넓이는 각각 0.32 ± 0.11 mm2와 0.41 ± 0.14 mm2였고 연령군 간 차이를 보였으나(p<0.001, p<0.001), 혈관 밀도는 각각 28.96 ± 3.05%와 33.15 ± 3.64%였고 연령군 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변량 및 다변량선형회귀분석에서 표층 및 심부모세혈관총의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 넓이는 나이와 중심황반두께가 유의한 연관 인자로 나타났으며, 나이와는 양의 상관관계(R2=0.279, p<0.001, R2=0.344, p<0.001), 중심황반두께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2=0.354, p<0.001, R2=0.285, p<0.001).
결론: 표층 및 심부모세혈관총의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의 넓이는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중심황반두께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망막중심오목무혈관부위 넓이의 임상적 평가를 시행할 때 대상자의 나이와 중심황반두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Purpose: To evaluate foveal avascular zone (FAZ) microvascular structural changes in healthy Korean subjects stratified by age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Methods: Eighty eyes of 43 healthy volunteer subjects who had 20/20 or bette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without other ocular or systemic disease except vitreous floaters and dry eye syndrome were enrolled and stratified by age group. To measure FAZ size and vascular density (VD) of the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and deep capillary plexus (DCP), OCTA (DRI OCT Triton, Swept Source OCT, Topcon, Tokyo, Japan) scans were performed over fovea-centered 3 × 3 mm2 regions, and then compared with central macular thickness (CMT) and subfoveal choroidal thickness.
Results: Mean age of the participants was 46.4 ± 16.1 (20–78). The SCP and DCP FAZ sizes were 0.32 ± 0.11 mm2 and 0.41 ± 0.14 mm2, respective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group (p < 0.001, p < 0.001), respectively. The FAZ VD for SCP and DCP was 28.96 ± 3.05% and 33.15 ± 3.64%,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age groups (p = 0.118, p = 0.637). Univariate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FAZ size of SCP and DCP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ge (p = 0.039, p = 0.002) and CMT (p = 0.007, p = 0.013), respectively. The SCP and DCP FAZ siz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ge (R2 = 0.279, p < 0.001, R2 = 0.344, p < 0.001),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CMT (R2 = 0.354, p < 0.001, R2 = 0.285, p < 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FAZ size of SCP and DCP increased with age and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CMT.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nsideration of age and CMT is important when performing the clinical evaluation of FAZ size in healthy subjects.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0378-6471 2092-937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