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번트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희망의 매개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희망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7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형성과 권한위임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윤리성 및 부하지원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서번트 리더십 유형 모두 심리적 자본 중 희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와...
Saved in:
Published in | 대한경영학회지, 26(7) pp. 1825 - 184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경영학회
01.07.2013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2234 2465-8839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서번트 리더십과 구성원의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희망의 매개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기업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470부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상사와 부하와의 관계형성과 권한위임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과 윤리성 및 부하지원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서번트 리더십 유형 모두 심리적 자본 중 희망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사와 부하의 관계형성과 권한위임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은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윤리성 및 부하지원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은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자본 중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윤리성 및 부하지원을 강조하는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에 대한 정서적 몰입과 규범적 몰입 간의 관계에 있어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들에게 작업장에서의 희망을 불러일으키고, 이를 통해 종업원들은 본인의 업무에 보다 몰입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말미에는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mployee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as psychological capital through empiric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70 employees who are employed by corporations and institu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ervant leadership was divided into two factors, those that emphasize the relationship and empowerment between boss and subordinates and those that emphasize the ethical aspect and support subordinate employee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irst, servant leadership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hope as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organization. Second, servant leadership that emphasizes the relationship and empowerment between boss and subordinat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emotional commitment. Third, servant leadership that emphasizes the ethical aspect and supports subordinate employees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both emotional and normative aspects. Furthermore, the mediating effect of hope as psychological capital was identifi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that supports subordinate employee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to say, servant leadership inspires hope in organizational members in the workplace, and these employees can be immersed in their job and tasks. Fin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35 |
---|---|
Bibliography: | G704-000789.2013.26.7.007 |
ISSN: | 1226-2234 2465-88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