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추구행동이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육성적 피드백과 상사의 부하신뢰의 역할

본 연구는 상사로부터의 피드백추구행동이 구성원의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 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이라는 매개변수와 상사의 부하신뢰 라는 조절변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총 205쌍의 부하와 직속상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구성원의 상사로부터의 피드백추구 행동은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 제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이들간의 관계는 상사의 부하신뢰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경영학회지, 27(2) pp. 179 - 199
Main Author 최병권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경영학회 01.02.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상사로부터의 피드백추구행동이 구성원의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어떠한 과정을 통해 영향 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이라는 매개변수와 상사의 부하신뢰 라는 조절변수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국내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방식을 통해 총 205쌍의 부하와 직속상사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구성원의 상사로부터의 피드백추구 행동은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 제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이들간의 관계는 상사의 부하신뢰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가 구성원에 대해 신뢰하고 있을 경우, 구성원의 피드백 요청 시에 더 많은 육성적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사의 육성적 피드백 제공은 구성원의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육성 적 피드백이 피드백추구행동과 직무성과 및 직무만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효과는 상사의 부하신뢰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피드백추구행동이 직무성과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상하간의 신뢰관계의 형성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tried to examine how employees' feedback-seeking behavior(FSB) positivelyinfluence their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by considering supervisor's developmentalfeedback (mediator) and trust in subordinates (moderator). The results with a sample of 205subordinate-supervisor dyad showed that employees' FSB was positively related to supervisors'developmental feedback and its positive relationship was stronger when supervisors' trust insubordinates was high than low. In addition, supervisors' developmental feedback had a positiveinfluence on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we found that the mediatingeffect of developmental feedback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FSB and job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supervisors' trust. This implies that, althoughemployees engaged in FSB, if their supervisor did not trust in them, they did not receivedevelopmental feedback from supervisors, and this their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didnot increase.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FSB literature by verifying the internal mechanism of howemployees' FSB positively leads to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In practical aspect, thecurrent findings cast implications that manager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providedevelopmental feedback, when their subordinates seek feedback. The limitation and some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elineated. KCI Citation Count: 14
Bibliography:G704-000789.2014.27.2.004
ISSN:1226-2234
2465-88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