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변공간을 활용한 오염부하 저감 및 차단 융복합 기술의하천 적용성 평가

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방치되어 왔던 하천 제방 및 둔치 등의 수변공간에 저류지, 인공습지 및 생태호안의 세가지 요소기술을연계 활용한 수질정화시설을 제조하여 설치한 뒤 강우시 및 비강우시에 따라 성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강우시에는SS, BOD, T-N, T-P에 대하여 평균 48.6%, 30.5%, 18.4%, 27.3%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비강우시에는 33.2%, 28.6%, 13.7%, 17.3%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한 수질정화시설은 강우시 및 비강우시의 운전방법에 따라서충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3(4) pp. 238 - 246
Main Authors 김봉균(동산콘크리트산업, 박재로, 서대석(동산콘크리트산업, 오종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응용생태공학회 01.12.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그동안 방치되어 왔던 하천 제방 및 둔치 등의 수변공간에 저류지, 인공습지 및 생태호안의 세가지 요소기술을연계 활용한 수질정화시설을 제조하여 설치한 뒤 강우시 및 비강우시에 따라 성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강우시에는SS, BOD, T-N, T-P에 대하여 평균 48.6%, 30.5%, 18.4%, 27.3%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비강우시에는 33.2%, 28.6%, 13.7%, 17.3%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수변공간을 활용하여 설치한 수질정화시설은 강우시 및 비강우시의 운전방법에 따라서충분한 제거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utilizing three technologies - a detention pond, an artificial wetland and an ecological revetment – were installed in waterfront spaces, including river embankments and watersides that have so far been left neglected, and then their water purification level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were found to show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48.6% in suspended solid (SS), 30.5% in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18.4% in total nitrogen (T-N) and 27.3% in total phosphorus (T-P) during rainfall. The removal efficiencies during non-rainfall were 33.2% in SS, 28.6% in BOD, 13.7% in T-N and 17.3% in T-P.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water purification facilities using a detention pond, an artificial wetland and an ecological revetment can be used as a useful natural 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in in waterfront spaces. KCI Citation Count: 1
ISSN:2288-8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