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개 대학병원 외래에서 Women's Health Initiative(WHI) 연구발표 이후 골다공증 관련 약물의 처방 변화

연구배경: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의 일차 선택제였던 호르몬 대체 요법이 WHI (Women's Health Initiative) 연구 결과 발표 이후 심혈관계 질환 및 다른 위험의 증가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WHI 연구(2002. 6월)발표 이후의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가 실제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는 WHI 연구 발표 후 일개 대학 병원에서 처방 양상이 어떻게 변화였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2002년 1월과 2003년 1월, 각각 1개월 동안 본원 외래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pp. 824 - 829
Main Authors 김영식, 선우성, 김태훈, 서기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가정의학회 01.11.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443
2092-671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의 일차 선택제였던 호르몬 대체 요법이 WHI (Women's Health Initiative) 연구 결과 발표 이후 심혈관계 질환 및 다른 위험의 증가로 인해 사용이 제한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WHI 연구(2002. 6월)발표 이후의 폐경 후 골다공증 치료가 실제로 어떻게 변화하였는가를 분석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는 WHI 연구 발표 후 일개 대학 병원에서 처방 양상이 어떻게 변화였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2002년 1월과 2003년 1월, 각각 1개월 동안 본원 외래를 방문하여 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여성 중 이차성 골다공증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이 없는 1,30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1월을 WHI 연구 발표 이전으로 2003년 1월을 WHI 연구 발표 이후로 간주하였다. 호르몬 대체 요법(HRT), bisphosphonate, SERM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tibolone 및 기타 약물에 대한 처방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 양상이 진료과, 골밀도 및 나이에 따라서는 어떻게 다른지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연구대상 환자들 중 골다공증과 관련된 약물을 한 가지라도 처방한 경우는 각각 425명(66%), 436명(66.5%)이었다. 이 중 HRT는 WHI발표 전에 213명(33.07%)이었던 것이 발표 이후 96명(14.63%)으로 그 사용이 상당히 감소하였다(P<0.01). 이는 주로 combined estrogen/progesterone 호르몬 대체 요법의 감소로 인한 것이었다. 그 외의 골다공증 치료제인 bisphosphonate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증가했고(P<0.05) calcium, vitamin D 등 기타제제의 처방도 크게 증가했다(P<0.01). 그러나 tibolone 처방은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P>0.05). 골밀도상 골감소증군에서 HRT의 감소, bisphosphonate 처방 증가 경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결론: 폐경 후 골다공증의 처방은 WHI 연구 발표 후에 그 결과에 따라서 combined estrogen/progesterone therapy에 상당한 감소가 있었고 tibolone을 제외한 그 밖의 치료제의 처방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에서의 대규모 임상 실험이 한 대학병원의 처방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확인해 볼 수 있었다. Change in Medication of Osteoporosis in a University Hospital after Women's Health Initiative (WHI) Clinical Trial Tae Hoon Kim, Gi Won Seo, Young Sik Kim†, Sung Sunwoo Background: Recent evidence had shown from randomized trials published in July 2002 that demonstrated adverse cardiovascular disease events and other risks with hormone therapy in the form of oral estrogen combined with progestin caused limitation of its u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hange in medication of osteoporosis at an university hospital after the WHI clinical trial.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644 and 656 women who underwent bone mass densiNometry (BMD) at an university hospital outpatient clinic in January 2002 and January 2003, respectively, with had no underlying disease for secondary osteoporosis. This study regarded January 2002 as before and Jan 2003 as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WHI clinical trial. We analyzed change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bisphosphonate,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 tibolone, etc. Results: More than one drug was prescribed for 425 (66%, before WHI) and 436 (66.5%, after WHI) patients among the two groups of study subjects, respectively. HRT was prescribed for 213 (33.07%) and 96 (14.63%) patients, respectively. The usage of the drugs decreased considerably after the publication of WHI clinical trial. This result was mainly due to the decline of combined estrogen/progesterone hormone therapy. The increase of bisphosphonate, SERM, calcium and vitamin D prescrip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prescription for tibolone (livial) did not change. Conclusion: Combined estrogen/progesrerone therapy was considerably decreased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WHI) clinical trial in accordance with the conclusion of the trial. (J Korean Acad Fam Med 2007;28:824-829)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343.2007.28.11.007
ISSN:2005-6443
2092-6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