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을 이용한 일부 수도권 의대생과 공대생의 우울증 유병률 및 관련요인
연구배경: 우울증은 고혈압이나 당뇨 등과 같은 만성질환들 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신체적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겪는 우울증 유병수준과 이에 관련된 유발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A대학 과 S대학의 의과대학생과 공과대학생 각각 160명씩, 총 640명 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자 640명 중 설문에 응답한 총 388명(60.6%)에서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28부를 제외한 의 과대학 학생 172명과 공과대학생 188명, 총 360명을 분석...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pp. 539 - 548 |
---|---|
Main Authors | ,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대한가정의학회
01.07.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6443 2092-6715 |
Cover
Summary: | 연구배경: 우울증은 고혈압이나 당뇨 등과 같은 만성질환들
과 마찬가지로 사회적, 신체적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겪는 우울증 유병수준과 이에 관련된
유발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 6월 25일부터 28일까지 경기도에 소재한 A대학
과 S대학의 의과대학생과 공과대학생 각각 160명씩, 총 640명
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전체 대상자 640명 중 설문에 응답한
총 388명(60.6%)에서 응답 내용이 불충분한 28부를 제외한 의
과대학 학생 172명과 공과대학생 188명, 총 360명을 분석 대상
으로 하였다. 우울증에 대한 척도는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을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자의 우울증 평균 점수는 49.2±9.8점이며, 전공에
따라 의대생은 52.4±9.3점, 공대생은 46.3±9.4점으로 의대생이
공대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우울증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우울증을 보이는 학생은 대상자의 42.8%를 차지하였는데, 공
대생에 비하여(34.0%) 의대생에서(52.3%) 우울증 유병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로지
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학년, 전공, 스트레스, 수면만족도
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대생과 공대생
의 주요 스트레스 원인은 의대생의 경우 성적문제, 공대생은
취업문제였으며, 학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스트레스 해소 방법은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어, 의대생은 술이나 담배로, 공대생은 오락이 가장 많은 스
트레스 해소법이었다.
결론: 수도권 대학생들은 우울증을 많이 겪고 있으며, 특히
의대생의 우울증 유병수준이 공대생에 비해 높았다. Background: It is a well known fact that students majoring in medicine and engineering suffer from higher stress level and
depression than students in other majors. This study was done to asses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the infl uencing
factors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ither medicine or engineering and to compare the depression
prevalence between the two groups.
Methods: The study randomly selected 640 students either majoring in medicine or engineering from two universities in
Kyung-Gi province, Korea. Each of 320 students majoring in either of the two majors from each university was recruited.
Among 640 students, 360 students, who were composed of 172 medical students and 188 engineering students was fi nally
chosen for the analysis. The Zung Self-Rating Depression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depression state.
Results: The average Zung depression score of university students was 49.2 ± 9.8. Medical students had a higher score
of 52.4 ± 9.3 as compared to engineering students, who scored 46.3 ± 9.4. Overall depression rate was 42.8%. Medical
students had a higher depression rate (52.3%) than engineering students (34.0%). The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infl uencing factors on depression state were sex, grade, major, stress and satisfactory sleep. The main source of stress for
medical students was the grades from classes whereas job search was for engineering student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managing the stress. Medical students chose alcohol drinking or smoking for stress
management whereas engineering students playing selected video games as their outlet.
Conclusion: Medical students from urban areas seemed to be depressed more than engineering students. Their stress
management methods among the subjects were drinking, smoking, and playing video games which may cause further
physic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13 |
---|---|
Bibliography: | G704-000343.2009.30.7.007 |
ISSN: | 2005-6443 2092-6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