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코틴 용량에 따른 흡연관련 요인

연구배경: 최근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줄여서 판매하는 경향 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소위 순한 담배라는 이미지의 저 니 코틴 및 저 타르 담배가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러 연 구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저니코틴 담배가 금연성 공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니코틴 용량에 따라 금연 성공과 관련된 니코틴 의존도등의 흡연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5월 26일부터 6월 8일까지 일개 종합병원 건강 검진 환자 중 성인 남녀 흡연자 12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식...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pp. 519 - 524
Main Authors 김현수, 현승수, 강광모, 장준혁, 곽정일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가정의학회 01.07.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443
2092-671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배경: 최근 담배의 니코틴 함량을 줄여서 판매하는 경향 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소위 순한 담배라는 이미지의 저 니 코틴 및 저 타르 담배가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여러 연 구들에 의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저니코틴 담배가 금연성 공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니코틴 용량에 따라 금연 성공과 관련된 니코틴 의존도등의 흡연 형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5월 26일부터 6월 8일까지 일개 종합병원 건강 검진 환자 중 성인 남녀 흡연자 125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 식 설문 조사와 호기 중 일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였다. 설문 은 성별, 연령, 최종학력, 월수입, 결혼유무, 음주횟수, 흡연기 간, 규칙적인 흡연시작 연령, 금연시도 횟수, 니코틴 용량에 따 른 니코틴 의존에 대한 인식, 니코틴 의존도(Fagerstrom test of nicotine dependence)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는 니코틴 0.35 ㎎ 미만 군을 저 니코틴 담배 군으로 니코틴 0.35 ㎎ 이상 군을 고 니코틴 담배 군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최종 연구 대상자는 125명(남자: 112명, 여자: 13명)이 었으며 그중 니코틴<0.35 ㎎군 70명(56%), 니코틴≥0.35 ㎎군 55명(44%)이었다. 두 군을 비교한 결과 니코틴 0.35 ㎎미만 군 에서 연령이 더 낮았고, 흡연기간도 더 짧았으나(P<0.05). 월 수입, 최종학력 및 금연시도 횟수의 경우는 0.35 ㎎ 미만 군에 서 더 높은 것으로 나왔다(P<0.05). 그 외에 음주횟수, 규칙적 인 흡연시작 연령, 결혼유무, 니코틴 의존도, 일산화탄소 농도 및 니코틴 용량에 따른 니코틴 의존에 대한 인식에서는 통계 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저 니코틴 담배를 피우는 군에서 금연 성공에 영향을 미 치는 흡연형태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저 니코틴 담배가 금연 성공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Background: Recently, a variety of cigarettes which contain a low content of nicotine are on the market and the nicotine tends to be reduced continuously. However, studies have not yet fully demonstrated that low-nicotine cigarettes are subservient to quitting smok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nicotine content on smoking attitudes and on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Methods: One hundred twenty-fi ve adult smokers, who had undergone a health examination in a general hospital, had their carbon monoxide measured after responding to the questionnaire. The items of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duration of smoking, the age of starting to smoke, the number of attempts to stop smoking, recognition of nicotine dependence, and nicotine dependence score. Results: The subjects consisted of two groups. One group was low nicotine group and the nicotine content was lower than 0.35 ㎎ per cigarette. The other group was high nicotine group and the nicotine content was over 0.35 ㎎ per cigarette. he age was younger and duration of smoking was shorter in low nicotine group. Monthly income, last schooling and number of attempts to stop smoking were higher in low nicotine group.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 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frequency of alcohol drinking, the age of starting to smoke, marital status, nicotine dependence, carbon monoxide concentration and recognition of nicotine dependence. Conclusion: A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smoking habits which has infl uence on achieving quit smoking of low nicotine group, we made our conclusion that low nicotine cigarette might be unhelpful in quit smoking.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000343.2009.30.7.001
ISSN:2005-6443
2092-6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