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수유 지속여부가 모유황달 치료 및 모유수유 성공에 미치는 영향

목적 : 모유황달에 대해서 모유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황달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모유를 중단하는 것이 황달이 호전된 후 모유수유를 다시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경우가 있어, 모유수유를 중단하지 않고 황달 치료를 하는 경우 황달에 대한 치료와 모유수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관동의대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생후 1주일 이후 모유황달 때문에 입원하여광선치료를 받은 신생아 59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고 전화설문을 통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모유수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Perinatology (Online) pp. 259 - 264
Main Authors 안은섭, 김민균, 이연경, 고선영, 윤소영, 정고운, 박성원, 신손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주산의학회 01.12.201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4887
2508-489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모유황달에 대해서 모유를 일시적으로 중단하고 황달치료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모유를 중단하는 것이 황달이 호전된 후 모유수유를 다시 지속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경우가 있어, 모유수유를 중단하지 않고 황달 치료를 하는 경우 황달에 대한 치료와 모유수유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2년 8월까지 관동의대 제일병원 소아청소년과에 생후 1주일 이후 모유황달 때문에 입원하여광선치료를 받은 신생아 59명의 의무기록을 분석하고 전화설문을 통하여 후향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모유수유를일시적으로 중단하고 분유수유를 시행하였던 24명과 모유수유를 지속한 35명에 대하여 총 혈청 빌 리루빈치의 변화를비교하였고, 퇴원 후 모유수유를 다시 실시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는지 여부를 전화 설문을 통하여 추적 조사하였다. 결과 : 광선치료를 시작할 때의 총빌리루빈치는 각각 19.7±1.7 mg/dL, 19.6±1.5 mg/dL로 차이가 없었으며, 치료 종료기준으로 삼았던 13 mg/dL 미만에 도달하는데 걸린 시간은 분유군이 44.5±15.4시간, 모유군이 37.4±11.5시간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66). 치료 종료 후 모유수유를 다시 시작할 때 유두혼동, 유두균열, 유방울혈 및 유선염 등의어려움을 겪었던 경우가 분유군에서는 응답자 16명 중 6명(37.5%)이었으며, 모유군은 응답자 24명 모두가 입원 전과 같이 모유수유를 지속하는데 어려움이 없었다고 하였다(P=0.001). 모유수유를 지속한 기간은 분유군에서는 6.0±4.4개월이었고, 모유군 에서는 10.9±6.0개월이었으며(P=0.017), 생후 6개월까지의 완전모유수유율은 분유군이 50.0%, 모유군이 83.3%였다(P=0.024). 결론 : 모유황달에 대한 광선치료 기간 동안 모유를 일시적으로 중단하지 않고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것은 모유수유 중단 후 발생하는 유방울혈 등의 수유 문제를 예방 하면서 황달 치료 효과를 유지할 수 있었으며, 모유수유를 성공적으로지속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Purpose : Though it is a general and common method to temporarily stop breast feeding and use whole milkinstead for neonatal breast milk jaundice, it may cause some difficulties in continuing breast feeding after therecovery. We study the effect of continuing breast feeding on the treatment of breast milk jaundice and thesuccess of breast feeding afterward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59 neonates who were admitted to Cheil generalhospital from Jan 2008 to Aug 2012 for phototherapy due to breast milk jaundic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groups, one with continuing breast feeding (35 cases) during treatment and the other with stopping breast feeding(24 cases). We examined and compared the changes in the level of serum total bilirubin between two groups, aswell as the difficulties the mothers might had in continuing or restarting breast feeding after the discharge.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imes of treatment (until reaching the level of serum totalbilirubin <13 mg/dL) between two groups (P =0.066). However, the group with temporary stop of breastfeeding had difficulties such as nipple confusion and breast engorgement compared to breast feeding group (P =0.001). In long-term follow up, the breast feeding duration (P =0.017) and the rate of exclusive breast feedingfor 6 months (P =0.024)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breast feeding group.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continuing breast feeding while treating breast milk jaundice is helpful both forsuccessfully continuing breast feeding and preventing problems after discontinuing breast feeding. KCI Citation Count: 1
Bibliography:G704-SER000009409.2013.24.4.009
ISSN:2508-4887
2508-4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