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유두암종 환자에서 확인된 평활근항체 V형 1예

평활근항체(smooth muscle autoantibodies, SMA)는 제1형 자가면역성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Bottazzo 등은 위의 근육, 혈관벽에 국한되어 염색되는 SMA를 SMA-V형으로 명명하였고, 그 외에 SMA-T형과 SMA-G형으로 구분하였다. 악성종양 환자에서 평활근항체의 발견이 종종 보고되었지만, 갑상선암 환자에서 평활근항체는 보고된 경우가 없다. 저자들은 최초로 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의 평활근항체 양성을 확인하였다. 31세 남자가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암의 검사를 목적으로 입원하였다. 흡...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Laboratory Medicine Online, 5(4) pp. 215 - 218
Main Authors 한송희, 김신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진단검사의학회 01.10.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평활근항체(smooth muscle autoantibodies, SMA)는 제1형 자가면역성 간염의 혈청학적 진단 표지자로 알려져 있다. Bottazzo 등은 위의 근육, 혈관벽에 국한되어 염색되는 SMA를 SMA-V형으로 명명하였고, 그 외에 SMA-T형과 SMA-G형으로 구분하였다. 악성종양 환자에서 평활근항체의 발견이 종종 보고되었지만, 갑상선암 환자에서 평활근항체는 보고된 경우가 없다. 저자들은 최초로 갑상선유두암 환자에서의 평활근항체 양성을 확인하였다. 31세 남자가 우연히 발견된 갑상선암의 검사를 목적으로 입원하였다. 흡인생검에서 갑상선 유두암으로 진단되어 갑상선전절제술 시행 후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예정하였다. 방사성 요오드 치료 직전 시행한 검사에서 AST와 ALT가 증가하여 간질환에 대한 검사를 시행하였다. 평활근항체는 1:320 역가로 양성이었다. 신장의 사구체와 세뇨관을 제외한 혈관에만 형광 양성을 보여 SMA-V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전의 연구들은 평활근항체와 악성종양 사이의 연관성과 평활근항체 형광양상의 아형을 보고한 바 있다. 하지만 이 연구들에서 평활근항체의 아형이 특정 질환을 예측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은 명확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평활근항체 양성 환자를 대상으로 평활근항체 양상의 질병특이성에 대한 연구는 자가면역질환이나 악성종양 환자의 신속한 진단과 정확한 치료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본 증례가 이후의 평활근항체의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Smooth muscle antibodies (SMAs) are diagnostic markers for the serological diagnosis of type 1 autoimmune hepatitis. SMA that is restricted to staining of the stomach muscle and blood vessel walls was referred to as “SMA-V”. In addition, SMAs are classified into the peritubular (SMA-T) and glomerular (SMA-G) patterns. SMAs are occasionally present in patients with malignancies, but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thyroid cancer. We came across the first case of SMA positivity in a patient with papillary thyroid carcinoma (PTC). A 31-year-old 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for evaluation of incidentally detected thyroid cancer. He had been diagnosed with PTC based on pathological results following fine-needle aspiration biopsy. The patient underwent total thyroidectomy followed by radio-iodine treatment. The serum levels of AST and ALT were increased before radiotherapy. Tests were conducted for the evaluation of liver disease. SMA was positive at a titer of 1:320, showing positive results for the vessel walls but negative results for the glomerulus and tubules in the kidney (SMA-V pattern). The association of SMA with malignancies and the classification of SMA immunofluorescent subtypes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However, these studies have not clearly established the ability of SMA subtype to predict a specific disease. Therefore, evaluation of an association of SMA pattern with specific diseases in SMA-positive patients may provide additional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rapid diagnosis and accurate treatment of patients with autoimmune diseases or malignancies. This case report could serve as a great resource for further studies on SMA.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SER000002688.2015.4.4.006
ISSN:2093-6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