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시대 중국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현황과 디자인, 서비스 모듈 연구
4차 산업혁명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 되었다. 우리가 수용하든 거부하든 간에 시대적 흐름은 이미 물려오고 있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 파격적인 변화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직업유형의 변화나 통신수단의 발전으로 인한 정보소통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며 중국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현황을 분석하였다. 아카이브는 주로 인물정보, 사진자료가 주를 이루었다. 다음으로 TTS와 STT 기반에서 영상이나 사운드에서 텍스트를 변환하는 방법과 VR 파노라마...
Saved in:
Published in | 중국학보, 0(80) pp. 95 - 12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중국학회
01.05.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50X 2671-8286 |
DOI | 10.35982/jcs.80.5 |
Cover
Loading…
Summary: | 4차 산업혁명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 되었다. 우리가 수용하든 거부하든 간에 시대적 흐름은 이미 물려오고 있으며 사회 각 분야에서 파격적인 변화가 발생하리라는 것을 예견할 수 있다.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직업유형의 변화나 통신수단의 발전으로 인한 정보소통의 변화는 이미 시작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첫째,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며 중국문화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현황을 분석하였다. 아카이브는 주로 인물정보, 사진자료가 주를 이루었다. 다음으로 TTS와 STT 기반에서 영상이나 사운드에서 텍스트를 변환하는 방법과 VR 파노라마 사진 촬영 테크닉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Wordpress 기반 시간, 공간, 영상, WIKI 데이터를 시각화하는 전략을 분석하였다. 시간은 타임라인 방식으로 사용하고, 공간은 Google Maps의 Open API를 사용하고, 영상은 멀티자막을 사용하고, WIKI는 Theme와 Plugin을 각각 사용하였다. 중국문화 관련 데이터 베이스는 학문과 연구를 하는 데 가장 중요한 자원이자, 기본이 되는 자원이라 할 수 있다. 중국문화 데이터를 모델링하고 시각화하는 전략은 제4차 산업혁명시대에 필수적인 능력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시대적 변화 속에서 중국문화 데이터를 접근해가는 전략적인 모듈을 제안한 것이며, 이를 통해 교육과 연구의 효율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inevitable. Whether we accept or refuse, the current trend is already being felt, and we can expect an extraordinary change in the field of society.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status of Chinese cultural data archiv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archives primarily constituted figures for personal information and photographic data. Next, we analyzed how to convert text from video or sound to TTS and STT and analyze the VR photo shoot technique. Finally, we analyzed strategies to visualize Wordpress based time space, images, and WIKI data. Time is used in the timeline, and space is used by the Open API of Google Maps, and clips use Subtitles, WIKI uses Theme and plugins. The Chinese cultural database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learning and research, and it is a fundamental resource. The strategy of modeling and visualizing Chinese cultural data is a prerequisit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is thesis, it is proposed to propose a strategic module to gain access to Chinese cultural data in this period, and it is believed that it will strengthe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research. KCI Citation Count: 4 |
---|---|
ISSN: | 1226-850X 2671-8286 |
DOI: | 10.35982/jcs.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