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거버넌스 참여주체의 의사결정 영향력 분석-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2010.7~2013.5)에서 주요의제를 추출하고, 거버넌스 참여주체의 의사결정 영향력을 이상적 형태와실제상황으로 나누어 정량적으로 도출한다. 정량화된 데이터는 횡단면 분석(Cross- sectional Data Analysis)과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이동시에 가능한 패널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거버넌스 참여주체별 의사결정 영향력 변화 요인에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 거버넌스 관련 주요 연구 항목인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의사결정 수준을 측...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52(2) pp. 5 - 20
Main Authors 권정주, 황희연, 박기용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4.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7.04.52.2.5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2010.7~2013.5)에서 주요의제를 추출하고, 거버넌스 참여주체의 의사결정 영향력을 이상적 형태와실제상황으로 나누어 정량적으로 도출한다. 정량화된 데이터는 횡단면 분석(Cross- sectional Data Analysis)과 시계열 분석(Time Series Analysis)이동시에 가능한 패널 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시재생거버넌스 참여주체별 의사결정 영향력 변화 요인에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통해 도시재생 거버넌스 관련 주요 연구 항목인 도시재생 거버넌스의 의사결정 수준을 측정하고 평가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The study for establishment of a model to measure and evaluate level of decision making of governance of urban regeneration should be preceded to make governance settle as a new alternative for establishment of urban regeneration. This study derives the major agenda of proces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Jungang-dong, Cheongju-si and the influence of decision making of governance participants, which divided into ideal influence and real situation, is derived quantitatively. Quantified data is conducted by panel data analysis can coincide. Analysis result suggests that local resident capacity building project should be preceded for urban regeneration governance to evolve into a civil society-centered governance based on consensual decision-making.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resulted in the need for long-term support policies through phased assess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to derive the influence of decision making quantitatively by governance participants and to take a new departure analyzing change factors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bout this influence, based on evidences about urban regeneration governance of Jungang-dong in Cheongju-si. KCI Citation Count: 9
Bibliography:G704-000338.2017.52.2.010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7.04.5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