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외지질학적 관찰을 통한 제주도 지하수 모델 제안

제주도와 같이 대부분의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화산섬에서 지하수의 부존형태와 흐름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수자원의 관리와 예측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 지표 및 지질단면에서 관찰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제주도 지하수를 규제하는 중요한 요인이 용암층 사이에 협재하는 불투수성 점토질 퇴적층임을 지적하고, ‘너와모델(multi-shingle model)’이라는 지하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 쉽게 설명되지 않았던 지하수 수위의 수직적 불연속성, 지하수 연령의 불균질성, 지하수 수위분포 및 변동양상,...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지질학회지, 53(2) pp. 347 - 360
Main Authors 안웅산, 전용문, 기진석, 김기표, 고수연, 이병철, 정차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지질학회 01.04.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제주도와 같이 대부분의 수자원을 지하수에 의존하는 화산섬에서 지하수의 부존형태와 흐름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수자원의 관리와 예측을 위한 매우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본 연구는 제주도 지표 및 지질단면에서 관찰되는 특징을 바탕으로 제주도 지하수를 규제하는 중요한 요인이 용암층 사이에 협재하는 불투수성 점토질 퇴적층임을 지적하고, ‘너와모델(multi-shingle model)’이라는 지하수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 쉽게 설명되지 않았던 지하수 수위의 수직적 불연속성, 지하수 연령의 불균질성, 지하수 수위분포 및 변동양상, 지하수의 수리지화학적 특징 등은 제시되는 모델을 통해 잘 설명된다.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ccurrence in Jeju Island is crucial in managing groundwater resources which is dominant water resources in the island. This study suggests a hydrogeological model for this volcanic island named as ‘multi-shingle model’, which emphasizes the role of impermeable clay sediment layers on the groundwater occurrence,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s and previous findings from literature reviews. The model can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occurrence in Jeju Island such as vertical discontinuity of groundwater level, heterogeniety of groundwater age, areal distribution and fluctuation patterns of groundwater level and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which are not fully explained by the conventional model in the previous studie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209.2017.53.2.010
ISSN:0435-4036
2288-7377
DOI:10.14770/jgsk.2017.53.2.3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