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치료 약제의 통증조절 효과

연구 계획: 종설목적: 골다공증성 요통의 발생기전의 제시와 골다공증 치료 약제를 이용한 통증의 조절선행문헌의 요약: 골다공증이 골절과 무관하게 통증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가설과 연구들이 있으나 아직 완전한 결론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는 골절 없이 발생할 수 있는 골다공증성 통증으로는 요통만이 인정되었다. 골다공증 치료약제들의 핵심연구에서는 통증의 호전을 분석하지 않아 자료가 제한적이지만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근거는 다수 존재한다. 대상 및 방법: 국내에서 사용 가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ine Surgery pp. 59 - 64
Main Authors 안동기, 신원식, 김고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척추외과학회 01.03.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연구 계획: 종설목적: 골다공증성 요통의 발생기전의 제시와 골다공증 치료 약제를 이용한 통증의 조절선행문헌의 요약: 골다공증이 골절과 무관하게 통증을 발생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해서는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가설과 연구들이 있으나 아직 완전한 결론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들에서는 골절 없이 발생할 수 있는 골다공증성 통증으로는 요통만이 인정되었다. 골다공증 치료약제들의 핵심연구에서는 통증의 호전을 분석하지 않아 자료가 제한적이지만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근거는 다수 존재한다. 대상 및 방법: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골다공증 치료약제들의 진통효과에 대한 문헌을 조사하였다. 결과: 골절과 동반되었을 때의 강력한 급성 통증의 경우와 달리 임상적 골절 이전의 점진적이고 만성적인 통증은 일반 진통제를 사용하여 조절하려면 높은 빈도의 부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골량과 골질을 향상시켜 골절을 예방하는 골다공증 치료제가 이러한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골다공증성 통증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골다공증 약제들은 골 형성 촉진제와 골 흡수억제제 모두 골절여부에 관계 없이 골다공증성 요통에 대해 임상적으로 통증조절효과가 인정된다. 골 형성촉진제는 주로 골 효과에 의존하고 골 흡수억제제 중 bisphosphonate는 골 효과와 골 외 효과 모두 인정되고 calcitonin과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 (SERM)제제는 주로 골 외 효과에 의존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통증조절의 효과가 teriparatide>bisphosphonate>calcitonin 순서인 것을 고려하면 통증 조절의 효과는 골 에 대한 효과가 더 주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통증의 부위가 외상의 인지 없이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할 수 있는 척추관련 부위에서만 인정되는 것을 고려하면 비골절성 통증은 인지되지 못한 척추의 골절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론: 골다공증성 요통은 골다공증 치료약제를 사용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각 약제의 통증조절 효과는 골절예방의 효과에 비례한다. 색인 단어: 골다공증성 통증, 진통효과, 골다공증 치료약제약칭 제목: 골다공증의 통증조절 Study design: Literature review. Objectives: To propose possible mechanisms of osteoporotic back pain and its management with antiosteoporotic drugs.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No general conclusion has yet been reached regarding whether osteoporosis without fractures can cause pain. Instead, only treatments for back pain without osteoporotic spine fractures have been review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Although key studies of antiosteoporotic drugs have not investigated their analgesic efficacy, plausible mechanisms have been suggested. Materials and Methods: The analgesic effects of antiosteoporotic agents available in Korea were reviewed. Results: Rather than the long-term use of conventional analgesics or narcotics, antiosteoporotic drugs would be more beneficial because they can enhance bone strength and have fewer side effects. Both anabolic and antiresorptive agents available in Korea have been proven to have an analgesic effect against osteoporotic back pain, with or without fractures. Anabolic agents depend on skeletal effects. Among antiresorptive agents, bisphosphonates have both skeletal and extraskeletal mechanisms for analgesia. Calcitonin and selective estrogen receptor modulators mostly depend on extraskeletal effects. The order of analgesic strength for osteoporotic back pain is teriparatide > bisphosphonate > calcitonin. This implies that the analgesic effect of antiosteoporotic drugs primarily depends on their skeletal effects rather than on their extraskeletal effects. Moreover, because non-fracture osteoporotic pain has been recognized only in the spine, where fractures can occur without a sensible injury, pain may arise from undiscovered spine fractures. Conclusions: Antiosteoporotic drugs ameliorate osteoporotic back pain. Their analgesic strength is proportional to their fracture prevention efficac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2174.2017.24.1.002
ISSN:2093-4378
2093-4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