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분조절제로서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이용한계분발효특성 및 시비효과

본 연구는 계분발효에서 수분조절제로 톱밥을 대신하여 피트모스와 코코피트를 사용하였을 때, 계분발효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시비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계분 단독처리구(OP), 톱밥+계분처리구(SP), 피트모스+계분처리구(PP) 및 코코피트+계분처리구(CP)로 설정하였다. OP나 SP처리구와 비교할 때, 계분발효 시 50℃이상을 나타내는 기간이 PP와 CP처리구에서 35일로 약 10일 정도 길었고, 퇴비화 후 45일 경 PP와 CP처리구의 수분 햠량은 약 50% 정도로 10%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분 발효과정에서 PP와 C...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유기물자원화, 25(1) pp. 79 - 86
Main Authors 김영선(효성오앤비, 이태순(효성오앤비, 조성현(효성오앤비, 정제용(효성오앤비, 안지예(효성오앤비, 이종진, 한기필, 홍주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유기성자원학회 01.03.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6498
2508-3015
DOI10.17137/korrae.2017.25.1.7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계분발효에서 수분조절제로 톱밥을 대신하여 피트모스와 코코피트를 사용하였을 때, 계분발효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시비효과를 조사하였다. 처리구는 계분 단독처리구(OP), 톱밥+계분처리구(SP), 피트모스+계분처리구(PP) 및 코코피트+계분처리구(CP)로 설정하였다. OP나 SP처리구와 비교할 때, 계분발효 시 50℃이상을 나타내는 기간이 PP와 CP처리구에서 35일로 약 10일 정도 길었고, 퇴비화 후 45일 경 PP와 CP처리구의 수분 햠량은 약 50% 정도로 10% 정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분 발효과정에서 PP와 CP처리구의 EC는 SP처리구보다 증가하였고, pH와 유기물대 질소비는 처리구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발효 종료 후 가공계분의 질소, 인산 및 칼리함량은 가공계분의 공정규격에 적합하였다. 상추, 케일 및 갓에 대한 재배시험 결과, PP와 CP처리구는 OP나 SP처리구보다 생육이 우수하였고 수량이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lant growth responses and characteristics of composting poultry manure with peatmoss and cocopeat as bulking agent. Treatments were designed as follows; only poultry manure (OP), sawdust+poultry manure (SP), peatmoss+poultry manure (PP), and cocopeat+poultry manure (CP). Period maintained 50℃ over in compost pile of PP and CP was 35 days that longer about 10 days than that of OP or SP, and water content of PP and CP after composting 45 days 50% that was higher about 10%. While poultry manure composted, EC values of PP and CP were higher than that of SP, and pH and OM/N ratio not significant. After finished composting poultry,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ried all composts were matched on Korean fertilizer guideline. As compared with OP or SP, applications of PP and CP were improved growth and productivity of lettuce, kale and mustard leaf. KCI Citation Count: 3
Bibliography:G704-000672.2017.25.1.010
ISSN:1225-6498
2508-3015
DOI:10.17137/korrae.2017.25.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