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의 네일 전문 용어 분석
목적: 본 연구는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주요항목 중 네일 개론과 네일 미용기술에서 외래어로 된 네일 전문 용어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네일 미용 관련 전문교육기관과 산업현장에서의 원활한 용어 표기로,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전문 용어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중, 네일 개론과 네일 미용기술에서 외래어로 된 네일 전문 용어를 분석하고, 같은 의미의 용어 중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와 띄어쓰기가 다르게 된 경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미용사(네일) 필기시험에서 나...
Saved in:
Published in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5(1) pp. 65 - 7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03.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466-2046 2466-2054 |
DOI | 10.20402/ajbc.2016.0103 |
Cover
Summary: | 목적: 본 연구는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주요항목 중 네일 개론과 네일 미용기술에서 외래어로 된 네일 전문 용어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네일 미용 관련 전문교육기관과 산업현장에서의 원활한 용어 표기로,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전문 용어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중, 네일 개론과 네일 미용기술에서 외래어로 된 네일 전문 용어를 분석하고, 같은 의미의 용어 중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와 띄어쓰기가 다르게 된 경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미용사(네일) 필기시험에서 나타난 용어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 응용 과학 편 중 Ⅶ. 가사·실업에서 해당되는 네일 미용 전문 용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네일 전문 용어를 분석한 결과 272개의 용어가 추출되었으며, 같은 의미이나 한글 표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272개중 63개로 나타났고,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272개 중 18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미용사(네일) 필기시험 문제에서 추출된 용어 중 교과서 편수 자료(Ⅲ)에 해당되는 용어는 18개로 나타났다. 결론: 미용사(네일)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에 사용되는 네일 전문 용어와 관련하여 같은 의미의 용어가 서로 다르게 표기되는 용어, 띄어쓰기, 외래어 표기 등에 대한다양한 분석 연구로, 추후 체계화된 용어 정리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mprovement of the nail beauty terminology used in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nail technicians in order to improve the orthography of the terminology used in nail beauty-related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es. The study analyzed loanwords in nail beauty terminology and identified problems in the introduction to nail beauty and nail beauty skill, which are major subjects in the written examina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nail technicians. Methods: In the written examina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nail technicians, loanwords in the nail beauty terminology used in the introduction to nail beauty and nail beauty skill were analyzed. The cases including different Korean orthography of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and different spacing in Korean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was analyzed. Also, nail beauty terminology was compared and analyzed between the written examination for nail technicians and material for editing of textbooks (Ⅲ). Results: This study extracted 272 terminologies. Of them, 63 had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Korean orthography and 18 had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spacing in Korean. Eighteen terminologies extracted from the written examination were relevant to material for editing of textbooks (Ⅲ). Conclusion: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nail beauty terminology used in the written examination subject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nail technicians to analyze different orthography of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spacing, and loanword orthography in various ways for the systematic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G704-SER000010442.2017.15.1.005 http://dx.doi.org/10.20402/ajbc.2016.0103 |
ISSN: | 2466-2046 2466-2054 |
DOI: | 10.20402/ajbc.2016.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