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화장품 원료 나노화 벌 화분의 효능

목적: 벌 화분은 일벌이 모은 꽃의 화분이 주성분이며 가장 완벽한 건강식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벌 화분은 단백질(약 40%), 아미노산 그리고 플라보노이드가 매우 풍부하다. 그러나 벌 화분은 exine이라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고 이로 인해 소화효소, 산 그리고 알칼리에 매우 안정하여 식이나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 나노 분쇄 기술을 이용하여 외피를 파괴하여 나노화 벌 화분을 제조하였고, 나노화 벌 화분의 항산화 효과와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화장품 제형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5(1) pp. 1 - 9
Main Authors 편해인, 박지아, 석진이, 소수정, 서화진(경북테크노파크, 오미경, 김세기, 양정은, 정일경, 최윤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03.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16.007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벌 화분은 일벌이 모은 꽃의 화분이 주성분이며 가장 완벽한 건강식으로 인식되어지고 있다. 벌 화분은 단백질(약 40%), 아미노산 그리고 플라보노이드가 매우 풍부하다. 그러나 벌 화분은 exine이라는 외피로 둘러싸여 있고 이로 인해 소화효소, 산 그리고 알칼리에 매우 안정하여 식이나 의학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습식 나노 분쇄 기술을 이용하여 외피를 파괴하여 나노화 벌 화분을 제조하였고, 나노화 벌 화분의 항산화 효과와 세포보호효과, 그리고 화장품 제형의 임상적 효과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습식 나노 분쇄 공정을 통해 벌 화분을 나노화하였고 라디칼 소거 활성과 세포보호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나노화 벌 화분을 원료로 하는 제형을 제조하여 임상시험을 수행하였다. 결과: 나노화 벌 화분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고 1% 나노화 벌 화분 용액은 피부세포에서 lactate dehydrogenase (LDH)의 분비를 18.73% 감소시켰다. 임상시험에서도 나노화 벌화분은 피부 결, 피부 수분 함유량, 피부 투명도 그리고 멜라닌 지수를 개선하였고 눈가의 주름을 감소시켰다. 피부자극시험에서도 나노 화분은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나노화 벌 화분은 화장품 원료로서의 우수한 가치가 있으며 피부에 다양한 효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Purpose: Bee pollen is largely composed of pollen gathered by worker bees and is well known as a complete nutritional food. Bee pollens are rich in protein (approximately 40%), free amino acids, and flavonoids. However, bee pollen is covered by an outer wall called exine, which is resistant to digestive enzymes, acids, and bases. Therefore, utilizing bee pollen for nutritional and medical purposes has been limited. In this study, we removed the exine layer with wet-grinding technology and evaluated its anti-oxidant activity, protective effects on skin fibroblasts, and potential clinical application as a cosmetic. Methods: We prepared nano-sized bee pollen with wet-grinding technology and examined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ell protective effects. We performed a clinical study after preparing the nano-sized bee pollen. Results: Bee pollen showed good anti-oxidant activity, and 1% bee pollen reduced lactate dehydrogenase (LDH) release 18.73% by skin fibroblasts. In addition, the clinical study showed that bee pollen had beneficial effects on skin roughness, hydration, transparency, wrinkles around the eyes, and the melanin index. Furthermore, bee pollen did not induce any adverse effects on the skin. Conclusion: These data indicate that bee pollen is a good cosmetic resource that provides diverse beneficial effects to the skin. KCI Citation Count: 2
Bibliography:G704-SER000010442.2017.15.1.004
http://dx.doi.org/10.20402/ajbc.2016.0078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16.00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