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철학을 통해서 본 갈등문제
갈등은 그 내용이나 원인,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고 여러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통해 접근될 수 있는 문제이다. 갈등 문제에 관심 가진 학문 가운데 철학도 역시 한 자리를 차지한다. 고중세철학자들 뿐만 아니라 근현대철학자들도 갈등 문제에 관심을 가졌는데 칸트도 그 중에 예외가 아니다. 칸트철학에서 갈등 문제는 무엇보다 형이상학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른바 이율배반 문제)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접근되고 여기서 거둔 성과는 경험의 원칙과 현상계와 예지계 구분의 원칙, 이성의 자율성의 원칙을 수립한 것이다. 이 원칙들은 다른 분...
Saved in:
Published in | 칸트연구, 0(17) pp. 47 - 7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칸트학회
01.06.200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9372 2734-0511 |
Cover
Summary: | 갈등은 그 내용이나 원인, 구조에 따라 다양하게 논의될 수 있고 여러 다양한 학문적 배경을 통해 접근될 수 있는 문제이다. 갈등 문제에 관심 가진 학문 가운데 철학도 역시 한 자리를 차지한다. 고중세철학자들 뿐만 아니라 근현대철학자들도 갈등 문제에 관심을 가졌는데 칸트도 그 중에 예외가 아니다. 칸트철학에서 갈등 문제는 무엇보다 형이상학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른바 이율배반 문제)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접근되고 여기서 거둔 성과는 경험의 원칙과 현상계와 예지계 구분의 원칙, 이성의 자율성의 원칙을 수립한 것이다. 이 원칙들은 다른 분야에서 발생하는 갈등에도 여러 가지 변용을 통해 그대로 적용된다. 이 논문은 동물적 본능과 비교하고 논쟁하는 이성, 그리고 감정을 갈등 야기의 원인으로 드러낸 다음 인간 본성의 근본적 소질로 지목된 동물성, 인간성, 비교하는 자기애, 인격성을 갈등과 관련해 논의하고 이것이 구체적인 갈등상황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논의한다. 갈등은 인간에게 필요한 것이며 영원한 평화를 위해 철학은 여전히 깨어 있어야 하며 평화를 위해 인간은 진실성의 의무를 준수해야 한다고 칸트가 강조한 것을 끝으로 다룬다. The problem of conflict can be discussed by the different academic disciplines in accordance with its contents, causes and typical structures. It seems to be certain that philosophy has her own place among those disciplines which may concern with the question of conflict. This question has attracted modern and contemporary philosophers as well as ancient and medieval philosophers. Kant was no exception. Conflict with which Kant was primarily concerned was the conflict he had found in metaphysics (so-called the question of the antinomy of reason). This led to the establishment of his critical philosophy which has proposed, eventually, the principles of experience, the principle of the distinction between two spheres, namely, phenomena and noumena and the principle of the autonomy of the self-reflective reason as the principles to solve the conflict in metaphysical assertions. I try to show that these principles could be applied to the other sort of conflicts in their variations. The moral conflicts of the individuals, conflicts between regions and the conflict between religions are discussed by considering Kant's principles and explanations given by him, especially in his later writing called the Proclamation of the imminent conclusion of a treaty of perpetual peace in philosophy(1796). In the last part of this paper some provocative theses of Kant are discussed: 1) Conflict is needed for the progress of history; 2)Philosophy should be armed and awake in order to keep the perpetual peace in philosophy and human society; 3) The duty to be trustful should be observed, in stead of the compromise and disguise. KCI Citation Count: 3 |
---|---|
Bibliography: | G704-001222.2006..17.008 |
ISSN: | 1598-9372 2734-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