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코하우징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소행주 1~4호와 구름정원사람들주택을 사례로

코하우징은 공동체 생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가구별 단위 주택의 확보를 통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주택이며, 거주자들 간의 교류 및 생활이 공유되는 주택으로 단위 주거와 함께 모든 거주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유공간이갖추어진 집합주거의 유형이다(김수현, 2014). 코하우징은 1970년대 북유럽에서 산업화․도시화로 인해 공동체가 사라진 주거환경에서 발생되는여러 가지 문제점과 가족구조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도입된 새로운 주거유형이며(조정현, 2011) 국내에서는 2011년 서울을 시작으로 저층주거지 내에 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토계획, 52(1) pp. 163 - 184
Main Authors 유명소, 남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01.02.201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7.02.52.1.16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코하우징은 공동체 생활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가구별 단위 주택의 확보를 통한 프라이버시를 보장하는 주택이며, 거주자들 간의 교류 및 생활이 공유되는 주택으로 단위 주거와 함께 모든 거주자들이 공용으로 사용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유공간이갖추어진 집합주거의 유형이다(김수현, 2014). 코하우징은 1970년대 북유럽에서 산업화․도시화로 인해 공동체가 사라진 주거환경에서 발생되는여러 가지 문제점과 가족구조 변화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하고자 도입된 새로운 주거유형이며(조정현, 2011) 국내에서는 2011년 서울을 시작으로 저층주거지 내에 도입되기 시작하여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코하우징은 이웃과의 상호작용으로 주거공동체 내부의 결속을 강화시키고 공동체 의식을향상시키는 주거유형으로(조문정, 2014) 다양화되는주거 수요에 대응할 수 있어 코하우징 확산이 커뮤니티 기반 주거지 재생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서울시에서도 이러한 잠재력을 고려해 ‘공동체 주택’1) 확산 정책을 추진 중에 있으며 다양한 지원방안을모색하고 있다. 코하우징 확산을 통한 커뮤니티 기반의 저층주거지 재생을 위해서는 코하우징에서의 이웃과 함께하는 생활이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고 주거만족도를증가시키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기존 연구에서는 코하우징의 적용 가능성 연구, 건축계획 방향 연구, 거주의사와 선호도 연구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코하우징의 공동체의식과 주거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심 저층 주거지 내 도입되기 시작한 코하우징 거주자의 주거만족도 영향요인 분석을 통해 코하우징 거주자의 공동체 의식과 주거만족도의 관계를 확인하여 소규모 코하우징확산을 통한 커뮤니티 기반 저층 주거지 재생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small co-housing that has been newly introduced in Seoul. Also this paper aimed at study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s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by ‘Neighborhood Life’, based on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theory. The paper analyzed that average of overall satisfaction score was 79.06, and each feature of residential satisfaction score was as follows: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was 80.06, with Neighborhood Life was 80.00, with Private Life was 78.19, with Accessibility was 75.03, with Economics was 63.26. Further,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Neighborhood Life, Economics, and especially Neighborhood Life positively affects the overall satisfaction. To improv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of Co-Housi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ways should be found for encouraging the satisfaction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Neighborhood Life, Physical Condition. Especially, regarding Neighborhood Life, it is highlighted the interactional activation and the trust building between the neighbors for promoting the sense of community and Social capital. KCI Citation Count: 8
Bibliography:G704-000338.2017.52.1.008
ISSN:1226-7147
2383-9171
DOI:10.17208/jkpa.2017.02.52.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