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를 통해 본 중복게재의 쟁점

목적: 본 논문은 출판윤리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중복게재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잘 모르거나 오해하고 있는 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연구자가 실천해야 할 바람직한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필자가 대학이나 연구 기관의 연구윤리 강의를 통해 얻게 된 중복게재와 관련하여 궁금해 하는 내용을 질문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해 필자가 답변을 하는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결과: 중복게재와 관련된 주요 질문 10개의 항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을 함으로써 중복게재와 유사한 용어들의 의미와 차이점을 규명하였고, 중복...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4(2) pp. 231 - 238
Main Author 이인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06.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16.005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본 논문은 출판윤리의 중요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는 중복게재와 관련하여 연구자들이 잘 모르거나 오해하고 있는 점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연구자가 실천해야 할 바람직한 방안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필자가 대학이나 연구 기관의 연구윤리 강의를 통해 얻게 된 중복게재와 관련하여 궁금해 하는 내용을 질문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해 필자가 답변을 하는 형식으로 기술하였다. 결과: 중복게재와 관련된 주요 질문 10개의 항목에 대해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을 함으로써 중복게재와 유사한 용어들의 의미와 차이점을 규명하였고, 중복게재에 대한 연구자들의 오해와 궁금증이 해소되도록 하였다. 결론: 연구자는 자신의 이전 저작물을 활용하여 후속 논문을 게재할 때 반드시 출처를 정확히 밝혀야 하며, 특히 동일 내지 실질적으로 유사한 연구를 적절하게 출처를 밝히지 않고 마치 새로운 연구인 것처럼 게재하고 이를 부당하게 활용할 때 ‘부당한 중복게재’ 로서 연구부정행위에 속한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Purpose: This paper analyses the issues of redundant publication which have been the hot topic in publication ethics and suggests a desirable publication practices which researchers should understand and comply with. Methods: I have collected the hot questions from audiences and researchers who would attend on my research ethics lecture and respond them. Results: It was identified meaning and differences in similar terms related redundant publication and was trying to solve the questions and misunderstandings of researchers by describing the main 10 questions of redundant publication with specific examples. Conclusion: Researcher should present the sources adequately and clearly when they use their previously published papers. It is recognized that when researchers publish their paper whose content was same or substantially similar to that of a previously published one without adequate cross-referencing and then take advantage of it unduly, that is unjustifiable redundant publication.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SER000010442.2016.14.2.005
http://dx.doi.org/10.20402/ajbc.2016.0054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16.0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