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주식시장과 한국 주식시장과의 동조화 및 글로벌 주식시장과의 비교 평가

본 연구는 한국 KOSPI와 중국 상해시장, 심천시장과 홍콩시장의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1992년 2월 21일부터 2006년 12월 29일까지의 4개 주식시장의 일별 주가지수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간의 동조화 존재여부에 대해 검증하였다. VAR 분석결과로 볼 때 외환위기 이후 한국 KOSPI 시장이 중국 상해 A, B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위기 이전에 비해 증가되었지만 심천시장에는 외환위기 이후에도 거의 설명력이 없음이 발견되었다. 홍콩시장의 경우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이 외환위기 이후에 뚜렷하게 증가되었다(추정모형계수가 0...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국제금융연구, 2(1) pp. 73 - 115
Main Author 안유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국제금융학회 01.05.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3-9353
2671-597X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한국 KOSPI와 중국 상해시장, 심천시장과 홍콩시장의 주가지수를 대상으로 1992년 2월 21일부터 2006년 12월 29일까지의 4개 주식시장의 일별 주가지수 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이들 간의 동조화 존재여부에 대해 검증하였다. VAR 분석결과로 볼 때 외환위기 이후 한국 KOSPI 시장이 중국 상해 A, B시장에 대한 영향력이 위기 이전에 비해 증가되었지만 심천시장에는 외환위기 이후에도 거의 설명력이 없음이 발견되었다. 홍콩시장의 경우 한국 주식시장에 대한 영향이 외환위기 이후에 뚜렷하게 증가되었다(추정모형계수가 0.078에서 0.117로 증가). 이는 Granger인과검증과 분산분해분석에도 같은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그 주요원인이 한국 기관투자자들의 중국 관련 투자가 주로 홍콩시장에 상장된 중국 국유기업관련 주식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중국 상해(A, B)시장과 심천(A, B)시장은 주로 자국시장의 충격에 의해서만 설명되고 또한 한국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아주 미약하였다. 그럼 이 현상이 과연 중국과 한국 간에만 존재하는 현상인지 아니면 중국과 글로벌 시장과의 관계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2000년 1월 4일부터 2008년 9월 12일까지의 일별 주가수익률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중국, 미국 및 일본 주가 간의 동조화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주식시장(KOSPI, KOSDAQ)은 미국시장(S&P500지수)과 강한 feedback현상을 보여주었다. 중국 주식시장의 경우 충격반응분석과 분산분해분석에서 주로 자국시장의 충격에 의해 설명되고 타 시장의 충격에 의해 거의 설명되는 부분이 적음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외환위기 이후 세계 자본시장의 통합도가 높아져 국가 간 주가변동의 동조성이 증가하는 가운데 중국시장은 외환위기이전과 마찬가지로 국제시장의 영향을 덜받고 오로지 자국시장 내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외환위기 이후에도 여전히 중국 자본시장이 폐쇄적이고 격리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co-movement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tock markets, using a VAR model with daily stock returns data of four stock markets(Korea’s KOSPI market, China’s Shanghai and Shenzhen stock markets, and the Hong Kong market) for the period of February 21, 1992 to December 29, 200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VAR analysis, Korea’s KOSPI market has more influence on China’s A and B share markets in Shanghai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an before the crisis. On the other hand, it has no influence on the Shenzhen stock market even after the crisis. The Hong Kong stock market shows an increased influence on the Korean stock market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the estimated coefficient increases from 0.078 to 0.117).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Granger causality test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t is mainly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shares of state-owned companies listed in the Hong Kong stock market comprise the majority of investments in China from Korean institutional investors. The A and B share markets in Shanghai and Shenzhen are explained only by internal market shocks. Moreover, their impact on the Korean stock market is negligible. To test whether this phenomenon exists only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stock markets or also between them and global markets, stock price co-movements in Korea, China,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analyzed using daily stock returns data from January 4, 2000 to September 12, 2008. The findings present the strong feedback between Korea's stock market(KOSPI, KOSDAQ) and the U.S. stock market(S&P500 index). As for the Chinese stock market, it is explained by internal market shocks, but barely explained by external market shocks. These are observations from the impulse response analysis and the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In conclusion, co-movements in national stock markets have been increasing as capital markets around the world are more integrated since the Asian financial crisis. The Chinese market is an exception to this trend. It is less affected by international markets as it was during the pre-crisis period. And it is impacted only by internal market factors. This implies that the Chinese capital markets are still closed and insulated even after the Asian financial crisis. KCI Citation Count: 7
Bibliography:G704-SER000003868.2012.2.1.001
ISSN:2233-9353
2671-597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