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이야기 글 읽기 이해 - 사실적 정보이해와 추론
읽기이해 부진(poor comprehension)이란 읽기장애의 한 유형으로 음독 능력은 연령에 비추어 적절한 수준이나 언어이해력은 지체되는 특성을 보인다.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이야기 글 읽기이해능력을 사실적 정보 질문과 추론 질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 각 40명씩, 총 80명을 대상으로 3개의 이야기 글을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 질문과 추론 질문 각 15문항씩, 총 30문항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과 질문 유형에 따른 주 효과가 나타났으며 집단×질문...
Saved in:
Published in | 언어치료연구, 18(3) pp. 51 - 64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언어치료학회
01.09.2009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09.18.3.004 |
Cover
Summary: | 읽기이해 부진(poor comprehension)이란 읽기장애의 한 유형으로 음독 능력은 연령에 비추어 적절한 수준이나 언어이해력은 지체되는 특성을 보인다.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의 이야기 글 읽기이해능력을 사실적 정보 질문과 추론 질문에 대한 이해를 통해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과 일반학생 각 40명씩, 총 80명을 대상으로 3개의 이야기 글을 사용하여 사실적 정보 질문과 추론 질문 각 15문항씩, 총 30문항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집단과 질문 유형에 따른 주 효과가 나타났으며 집단×질문 유형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일반학생에 비하여 두 질문 유형 모두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는데 사실적 정보과제에 비해 추론과제의 수행력이 더욱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읽기이해 부진학생이 사실적 정보과제와 추론과제에서 보인 결과를 통해 그에 따른 읽기이해의 어려움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e present study, the inference making abilities of poor comprehenders were investigated. Poor comprehenders are characterized by having word decoding skills within normal range with delay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relative to their peers. Eigh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three to six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40 were poor comprehenders and 40 wer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Three stories were used to assess the subjects' comprehension abilities. After reading the stories, they were asked to reply to two types of questions: literal questions and inference questions. For each story, 10 questions (five literal and five inference questions) were asked. A 2-way ANOVA of the subject group (2) x question type (2) was conducted, where the question type was a repeated meas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the subject group and question type, (2) an ingrouption brtween group and question typ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Poor comprehedners were less upcurate than normal children in answering both types of questions. Such group differences appear to be larger for inference questions than for literal questions.
Poor comprehenders' inference problems during reading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various psycholinguistic processes required for inferencing.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were also discussed. KCI Citation Count: 17 |
---|---|
Bibliography: | G704-000939.2009.18.3.009 |
ISSN: | 1226-587X 2671-7158 |
DOI: | 10.15724/jslhd.2009.18.3.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