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눌 노상직의「여사수지」분석 : 서문과 입교편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소눌 노상직이 1889년에 편찬한 여성교육서인 여사수지의 서문과 입교편을 분석한 것이다. 노상직은 성재 허전의 제자로 기호남인과 영남남인의 학문을 이어받은 한말의 유학자로서 평생을 강학과 저술, 문헌간행에 심혈을 기울였다. 서명과 서문 분석을 통해 저자가 말하는 여성교육의 필요성, 편찬동기, 편차를 살펴보았고, 내용의 핵심이 집약되어 있는 입교편을 대상으로 내용, 인용문헌, 소학과의 편차를 비교분석하여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사수지’라는 서명은 교양과 예의있는 부녀라면 반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32) pp. 273 - 300
Main Author 송정숙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01.12.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소눌 노상직이 1889년에 편찬한 여성교육서인 여사수지의 서문과 입교편을 분석한 것이다. 노상직은 성재 허전의 제자로 기호남인과 영남남인의 학문을 이어받은 한말의 유학자로서 평생을 강학과 저술, 문헌간행에 심혈을 기울였다. 서명과 서문 분석을 통해 저자가 말하는 여성교육의 필요성, 편찬동기, 편차를 살펴보았고, 내용의 핵심이 집약되어 있는 입교편을 대상으로 내용, 인용문헌, 소학과의 편차를 비교분석하여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가르침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사수지’라는 서명은 교양과 예의있는 부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즉 부녀교육의 지침을 담은 책이라는 뜻이다. 서문을 분석하면, 저자는 여성이 현명한가 그렇지 않은가에 한 집의 흥망이 달려 있으므로 여성도 배워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여성이 내훈, 열녀전, 소학, 삼강행실 등을 배워야 하는데, 공부에 전념할 시간이 없으므로 핵심만 뽑아 여사수지를 편찬하였다고 편찬동기를 밝혔다. 편차는 입교, 계고, 입교속록, 계교속록의 4편으로 구성되었는데, 입교편에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가르침의 핵심이 들어 있다.입교편의 내용을 분석하면, 시부모 섬기기, 시집살이에서의 유의점, 부부간남녀간의 분별 등 여성 특히 부인으로서의 바람직한 행실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인용문헌과 소학과의 편차를 비교 분석하면, 저자는 간략히 하기 위해 출전을 생략했고, 결혼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원전에서 ‘부모’와 관련된 내용은 생략하거나 ‘구고(舅姑)’로 대체함으로써 시부모 섬기기와 부부간 남녀간의 분별로 집중시켰다. 그리하여 부모 섬기고, 자식 가르치는 것에 관한 내용은 거의 생략되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 handbook for the education of married women(Yeosasooji) which is compiled by Sang-Jik Rho in 1889. He was a great Confucian scholar who lived in Gyeongnam Province area, from the last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to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preface of the handbook is analyzed to explore the necessity of women education and the motivation of the compilation of it, and furthermore 1st chapter which contains the core subjects is analyzed to explore contents, citational literature.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The fate of a family depends upon a daughter-in-law, so women have to be enlightened. But women had not enough time for reading many books. Therefore the author compiled a handbook for the education of married women(Yeosasooji) which touches the core for women education. The author omitted the contents related to the education for males.The core contents of this book is how to take care of husband's parents, distinc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male and female. To emphasize these items, the author replace the word of her parents with the word of husband's parents The main idea of this book is to promote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a daughter-in-law and her husband's parents. KCI Citation Count: 9
Bibliography:G704-000060.2005..32.013
ISSN:1225-5246
2671-87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