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궁중 서화 수장처에 대한 연구

본 논문은 조선시대 궁중 서화수장 연구의 일환으로 書畵收藏處 건립의 역사적 변천과정, 수장품의 수집과 관리에 대해 조명한 것이다. 15․16세기에는 眞殿을 제외하고 일반 서화를 위한 수장처에 대한 건립이 저조하여 서책보관을 위주로 한 궁중 도서관의 기능에서 분화되지 못한 상태였다. 따라서 內帑庫와 왕실문서를 보관한 隆文․隆武樓, 校書館 등 특정 전각이 그 기능을 대신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숙종년간을 기점으로 수장처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어필을 奉安한 여러 尊閣과 그림족자를 보관한 淸防閣이 설치되었다. 19세기에 건립된 承華樓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32) pp. 301 - 336
Main Author 황정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01.12.200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은 조선시대 궁중 서화수장 연구의 일환으로 書畵收藏處 건립의 역사적 변천과정, 수장품의 수집과 관리에 대해 조명한 것이다. 15․16세기에는 眞殿을 제외하고 일반 서화를 위한 수장처에 대한 건립이 저조하여 서책보관을 위주로 한 궁중 도서관의 기능에서 분화되지 못한 상태였다. 따라서 內帑庫와 왕실문서를 보관한 隆文․隆武樓, 校書館 등 특정 전각이 그 기능을 대신하였다. 그러나 17세기 숙종년간을 기점으로 수장처에 대한 인식이 증대되어 어필을 奉安한 여러 尊閣과 그림족자를 보관한 淸防閣이 설치되었다. 19세기에 건립된 承華樓와 樂善齋의 부속건물들, 緝敬堂 등은 도서관의 기능에서 더 나아가 전문적인 서화수장처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paper aims at th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collecting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the Joseon palace by investigating the building royal repositories to preserve them. In the early period, the thought of collecting paintings and calligraphy in palace was not much expanded, however,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1674~1720), the rules for preservation of paintings and calligraphy were more elaborated and its collection also came to be enlarged. In the 19th century, the huge amount of art works such as royal portraits, calligraphy, and masterpieces by famous artists were kept in several palaces. The Seunghwaru Pavilion and the Jipgyeongdang Hall had functioned as the important places to preserve many art works at the end of Joseon. KCI Citation Count: 6
Bibliography:G704-000060.2005..32.006
ISSN:1225-5246
2671-8758